軍, '50만 드론전사' 양성…드론 1만1천여대 보급해 장병 교육

  • 내년도 국방 예산 총 205억원 편성

  • 36사단, '실증 전담부대'로 지정

안규백 국방부 장관이 4일 강원도 원주 소재 육군 36사단에서 열린 ‘소형드론·대對드론 실증 전담부대’ 지정식에서 교육용 소형드론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국방부
안규백 국방부 장관이 4일 강원도 원주 소재 육군 36사단에서 열린 ‘소형드론·대(對)드론 실증 전담부대’ 지정식에서 교육용 소형드론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국방부]


군이 장병 대상 드론교육을 대폭 강화하는 ‘50만 드론전사’ 양성 사업을 추진한다.
 
안규백 국방부 장관은 4일 강원도 원주 소재 육군 36사단에서 열린 ‘소형드론·대(對)드론 실증 전담부대’ 지정식에 참석해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안규백 장관은 “육군 36사단이 창의적이고 다양한 노력을 통해 사단 자체의 드론 운용 능력을 강화한 노하우 등을 타 부대에서도 적극 활용하길 바란다”며 “인공지능(AI) 등 우수한 첨단기술이 접목된 장비를 군에서 신속하게 기술 실증을 할 수 있도록 중추적인 시험대(test bed)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국방부는 ‘50만 드론전사’ 양성 사업 추진을 위해 내년도 국방 예산에 총 205억원을 편성했다.
 
전 장병이 주둔지 내에서 드론 비행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190억원을 들여 저가·소모성 교육훈련용 상용 소형드론 1만1000여대를 도입할 계획이다. 육군 전 상비부대, 교육기관에 분대당 1대 이상의 교육용 드론을 보급한다는 방침이다.

14억원을 투입해 드론 전문교관을 양성하기로 했다. 아울러 장병 비행교육 숙달을 위해 주둔지 내 드론교육장을 구축하는 등 부대 유휴시설을 활용해 드론교육 인프라를 보강할 방침이다.
 
국방부는 전 장병이 군 입대 후 손쉽게 드론 조종 자격과 실무 경험을 쌓아 군 복무기간 중에는 군 전투력 강화에 기여하고, 전역 후에는 민간 산업 현장에서 드론 분야 전문가로 활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핵심부품이 국산화된 교육용 상용드론 장비를 군에서 직접 사용함으로써, 공공부문 중 군이 대표적인 수요처로서 국내 드론분야 산업계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군은 안정적인 드론장비를 국내 산업계에서 공급받게 되는 ‘상생전략’을 추진한다.
 
국방부는 육군 36사단을 50만 드론전사 양성 가속화를 위한 소형·대(對)드론 실증 전담부대로 지정했다.
 
전담부대에선 전투현장과 유사한 환경에서 민간 드론 장비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장병들이 최신 드론을 직접 운용하는 경험을 축적해 드론 관련 전술·교리를 개발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각 군 및 부대 임무 유형과 특성을 감안해 올해 하반기를 목표로 각 군별 시범사업을 검토·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민간에서 개발 중인 소형 드론과 대드론 장비의 충분한 기술 실증을 위해 각 군과 부대 임무 유형에 적합한 ‘소형드론 및 대드론 실증 전담부대’ 추가 지정 방안을 검토한다는 구상이다.
 
안 장관은 “50만 드론전사 양성이라는 새로운 도전을 통해 단순한 군의 변화가 아니라 개인의 역량 발전과 더불어 국내 산업과 국가 미래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는 마중물 역할을 적극 해내가자”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