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아마도 원내대표단은 마감 시한을 설정해두고 매우 서둘렀던 것 같다"며 이같이 적었다.
그는 "정무적 판단으로 늘 본질을 보지 못한 지난 정권의 우를 반복해선 안 된다"며 "대통령의 취임 100일을 앞두고 정부조직법을 순산시키려는 판단을 했을 수도 있다. 가까이 모시는 사람들의 입장에서는 그럴 수도 있다. 그런 충정과 진정성은 의심하지 않는다"고 감쌌다.
그러면서 "그러나 대통령의 말씀처럼 민주공화국의 본질을 훼손하려 한 것에 대한 진상규명을 해야 하는 특검법은 교환 대상이 아니라는 판단을 당과 진지하게 했어야 했다"며 "그것을 놓친 점은 매우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그는 여야 원내대표 합의가 이뤄지던 당시 김병기 원내대표와 통화했던 사실을 언급하며 "알아듣기 어려운 다급한 말로 뭐라 하는데 그때까지 여야 간 원내합의가 진행되고 있다는 것조차 몰랐던 나로서는 일단 다 '금시초문'이라고 답했다. 그리고 자세한 내용은 체크해보고 확인한 후 답을 주겠다고 했을 뿐"이라고 회상했다.
이어 "다시 위원장 자리로 돌아왔는데 그로부터 1시간 정도 지날 무렵 갑자기 보좌관이 여야 합의 속보가 떴다고 알려줬다"고 설명했다.
추 의원은 "누구나 실수할 수 있다. 실수를 마주하는 것도 큰 용기"라며 "왜 실수했는지 복기해보고 다시 그 같은 일이 안 일어나게 한다면 이보다 더 보약은 없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