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수출입물가 두달째 상승…환율이 유가 하락 상쇄

  • 한국은행 '8월월 수출입물가지수' 발표

러시아 원유운반선이 현지 나호트카 항구 인근 터미널에 정박해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러시아 원유운반선이 현지 나호트카 항구 인근 터미널에 정박해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지난달 수출입물가가 두 달 연속 동반 상승했다. 국제유가는 하락했지만 원·달러 환율 상승이 이를 상쇄한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20년 수준 100)는 135.21로 7월(134.84)보다 0.3% 올랐다. 두 달 연속 상승세다.

원재료는 광산품(-1.1%)을 중심으로 0.4% 내렸다. 중간재는 컴퓨터·전자·광학기기(1.1%), 화학제품(0.7%) 등이 오르면서 0.5% 상승했다. 자본재와 소비재 역시 전월대비 각 0.7%씩 올랐다.

지난달 국제유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원·달러 환율이 0.3% 올랐다. 지난달 두바이유가는 월평균 69.39배럴로 집계되면서 전월(70.87배럴)대비 2.1% 하락했다. 같은 기간 원·달러 환율은 7월 평균 1375.22원에서 8월 1389.66원으로 1.1% 상승했다.

8월 수출물가지수(원화 기준)는 7월(127.86)보다 0.7% 오른 128.73로 집계됐다. 역시 두 달째 상승 흐름이다.

품목별로 농림수산품이 1.1% 올랐고, 공산품도 컴퓨터·전자·광학기기(1.3%)를 중심으로 0.7% 상승했다. 세부 품목 중에는 냉동수산물(3.3%), 이소시아네이트(2.1%)가 오르고 경유(-3.6%), 제트유(-5.0%) 등이 내렸다.

8월 무역지수(달러 기준)는 수입물량지수와 수입금액지수가 전년동월 대비 각 2.2%, 3.8%씩 상승했다. 수출물량지수와 수출금액지수는 각 5.4%, 2.0%씩 올랐다.

우리나라가 한 단위 수출로 얼마나 많은 양의 상품을 수입할 수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94.48)는 전년동월 대비 2.9% 올라 26개월 연속 상승세를 유지했다. 수입가격(-5.9%)이 수출가격(-3.2%)보다 더 크게 하락하면서다.

소득교역조건지수(115.25)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2.9%)와 수출물량지수(5.4%)가 모두 상승하면서 1년 전보다 8.5% 상승했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향후 전망에 대해 "9월 들어 현재까지는 두바이유 가격은 전월대비 소폭 상승했고 환율은 전월대비 보합을 나타내고 있다"며 "아직은 변동의 폭이 크게 나타나지 않고 있어 국내외 여건 불확실성이 있어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