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국제유가 상승에도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면서 수입 물가가 소폭 하락했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20년 수준 100)는 133.86으로, 5월(134.61)보다 0.6% 내렸다.
2월(-1.0%)과 3월(-0.4%), 4월(-2.3%), 5월(-3.7%)에 이어 다섯 달 연속 하락세다.
중간재가 화학제품,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 등이 내리며 전월대비 1.6% 하락했다. 자본재와 소비재도 각각 1.1%, 1.0%씩 내렸다.
반면 원재료는 원유 등 광산품을 중심으로 전월대비 1.5% 상승했다.
품목별로 보면 농림수산품(-3.8%), 화학제품(-2.2%), 전기장비(-2.2%)가 눈에 띄게 하락했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커피(-13.5%), 메틸에틸케톤(-7.3%), 니켈1차제품(-3.0%) 등이 크게 내렸다. 반면 원유는 6.5% 올랐다.
한은은 국제유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면서 수입 물가가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국제 유가는 두바이유 기준(월평균·배럴당) 63.73달러에서 29.26달러로 전월 대비 8.7%나 올랐다. 반면 원·달러 환율은 올해 5월 평균 1394.49원에서 6월 평균 1366.95원으로 2.0% 하락했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7월 수입 물가 전망과 관련해 "7월 들어 현재까지 두바이유 가격은 전월 대비 1%정도 올랐으며 원·달러 환율은 전월 대비 거의 변동이 없는 상황"이라면서 "현재까지는 유가와 환율의 영향이 아주 크지는 않을 걸로 보지만 국내외 여건 불확실성 큰 점 감안해서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5월 수출물가지수(원화 기준)는 5월(128.39)보다 1.1% 내린 126.95로 집계됐다. 4월(-1.5%), 5월(-3.5%)에 이어 세 달 연속 하락세다.
품목별로 농림수산품이 1.8% 내렸고, 공산품도 화학제품(-1.8%),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 (-1.8%) 등을 중심으로 1.1% 하락했다.
세부 품목 중에는 가정용냉장고(-7.4%), 열연강대및강판(-6.6%), 용접강관(-4.6%), 폴리에틸렌수지(-3.3%) 등의 하락 폭이 컸다. 반면 경유(7.6%)와 휘발유(4.2%)는 크게 늘었다.
5월 무역지수(달러 기준)의 경우 수입물량지수는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 기계및장비 등이 증가하며 전년 동월 대비 11.2% 상승했다. 수입금액지수는 2.9% 늘었다.
수출 역시 물량지수는 6.8% 상승했고, 금액지수는 2.8% 늘었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4.0% 올라 24개월 연속 상승세를 유지했다. 수입가격(-7.4%)이 수출가격(-3.7%)보다 더 크게 하락한 결과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4.0%)와 수출물량지수(6.8%)가 모두 상승하면서 1년 전보다 11.0% 올랐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20년 수준 100)는 133.86으로, 5월(134.61)보다 0.6% 내렸다.
2월(-1.0%)과 3월(-0.4%), 4월(-2.3%), 5월(-3.7%)에 이어 다섯 달 연속 하락세다.
중간재가 화학제품,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 등이 내리며 전월대비 1.6% 하락했다. 자본재와 소비재도 각각 1.1%, 1.0%씩 내렸다.
품목별로 보면 농림수산품(-3.8%), 화학제품(-2.2%), 전기장비(-2.2%)가 눈에 띄게 하락했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커피(-13.5%), 메틸에틸케톤(-7.3%), 니켈1차제품(-3.0%) 등이 크게 내렸다. 반면 원유는 6.5% 올랐다.
한은은 국제유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면서 수입 물가가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국제 유가는 두바이유 기준(월평균·배럴당) 63.73달러에서 29.26달러로 전월 대비 8.7%나 올랐다. 반면 원·달러 환율은 올해 5월 평균 1394.49원에서 6월 평균 1366.95원으로 2.0% 하락했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7월 수입 물가 전망과 관련해 "7월 들어 현재까지 두바이유 가격은 전월 대비 1%정도 올랐으며 원·달러 환율은 전월 대비 거의 변동이 없는 상황"이라면서 "현재까지는 유가와 환율의 영향이 아주 크지는 않을 걸로 보지만 국내외 여건 불확실성 큰 점 감안해서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5월 수출물가지수(원화 기준)는 5월(128.39)보다 1.1% 내린 126.95로 집계됐다. 4월(-1.5%), 5월(-3.5%)에 이어 세 달 연속 하락세다.
품목별로 농림수산품이 1.8% 내렸고, 공산품도 화학제품(-1.8%),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 (-1.8%) 등을 중심으로 1.1% 하락했다.
세부 품목 중에는 가정용냉장고(-7.4%), 열연강대및강판(-6.6%), 용접강관(-4.6%), 폴리에틸렌수지(-3.3%) 등의 하락 폭이 컸다. 반면 경유(7.6%)와 휘발유(4.2%)는 크게 늘었다.
5월 무역지수(달러 기준)의 경우 수입물량지수는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 기계및장비 등이 증가하며 전년 동월 대비 11.2% 상승했다. 수입금액지수는 2.9% 늘었다.
수출 역시 물량지수는 6.8% 상승했고, 금액지수는 2.8% 늘었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4.0% 올라 24개월 연속 상승세를 유지했다. 수입가격(-7.4%)이 수출가격(-3.7%)보다 더 크게 하락한 결과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4.0%)와 수출물량지수(6.8%)가 모두 상승하면서 1년 전보다 11.0% 올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