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와 무인탐사연구소는 7년 뒤인 2032년 달 착륙을 목표로 한다. 앞서 LG는 지난 6월 말 우주항공청(KASA) 주요 관계자들과 만나 우주 산업 진출을 논의한 바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미 2016년 미 항공우주국(NASA)의 우주복용 리튬이온배터리 공급 업체로 선정되기도 했다.
LG는 "이번 실증은 우주 산업의 주체가 정부에서 민간으로 넘어가는 '뉴 스페이스(New Space)'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계기"라며 "기존 양산품을 우주 환경에 맞춰 보완하는 방식이라 비용·시간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이번 행사를 통해 LG의 미래 사업 'ABC'(AI·바이오·클린테크)는 물론 로봇, 우주산업, 사이버 보안 등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 혁신 기술도 공개됐다.
구광모 ㈜LG 대표가 취임 후 미래 사업으로 점찍은 ABC 영역의 기술 전시가 눈에 띈다. '넥스트 엔비디아'로 불리는 망고부스트는 DPU(Data Processing Unit) 기반 네트워킹 솔루션 설계 기술을 알린다.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가 늘어날수록 네트워크 최적화를 위한 DPU 설계 기술이 각광을 받을 전망이다.
수혈용 인공 혈액 생산의 선두주자인 아트블러드는 세포 기반의 적혈구를 체외 생산하는 글로벌 수준의 혁신 기술을 공개한다. 국내 유일의 재활용 플라스틱의 디지털 거래 플랫폼을 운영하는 파운드오브제는 다양한 재생 소재를 전시한다.
한편 LG는 올 들어 세 번째 로봇 분야 투자를 이어가며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날 업계에 따르면 LG의 밴처캐피털 LG테크놀로지벤처스는 최근 미국 AI 로봇 스타트업 '피규어 AI'의 시리즈C(사업 확장 단계) 투자에 참여했다. 지난해 2월 시리즈B(사업 개발을 본격화하는 단계)에 이은 후속 투자로 구체적인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LG테크놀로지벤처스는 이달 초 미국 AI 로봇 스타트업 '다이나로보틱스'의 시리즈A 투자에 참여한 바 있다. 지난 6월에는 피지컬 AI 기업 '스킬드 AI'의 시리즈B 투자하는 등 로봇 기술 선점을 위한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