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바이오진흥원, 통합 누리집 새단장... '디지털 소통 강화'

  • 특허 DB·장비 예약 시스템 탑재… 지역 기업 지원 기능 대폭 업그레이드

재전남바이오진흥원원장 윤호열이 분산되어 있던 산하 센터의 홈페이지를 하나로 통합하고 사용자 편의성과 디지털 홍보 기능을 대폭 강화한 새로운 통합 누리집을 공식 개편했다사진전남바이오진흥원
(재)전남바이오진흥원(원장 윤호열)이 분산되어 있던 산하 센터의 홈페이지를 하나로 통합하고, 사용자 편의성과 디지털 홍보 기능을 대폭 강화한 새로운 통합 누리집을 공식 개편했다.[사진=전남바이오진흥원]

(재)전남바이오진흥원(원장 윤호열)은 산하 센터별로 분산 운영되던 홈페이지를 하나로 통합하고, 사용자 편의성과 디지털 홍보 기능을 대폭 강화한 통합 누리집을 새롭게 개편했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이번 개편은 △디자인 전면 개편 △SNS 채널(유튜브 등) 연동 기능 강화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확충에 초점을 맞췄다. 특히, 본부제 전환에 따라 구축된 새로운 플랫폼은 여러 사이트를 방문하지 않고도 공지사항, 연구자료, 지원사업 정보를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조직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분산된 정보 관리의 한계를 해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새로운 홈페이지는 진흥원의 CI(시각적 정체성)를 반영한 현대적인 디자인을 적용했으며, PC·모바일·태블릿 등 다양한 기기에서 최적화된 화면을 제공하는 반응형 웹 기술을 도입해 접근성을 강화했다.

또한 지역 바이오 기업을 위한 지원 기능도 크게 개선됐다. 특허정보검색서비스(KIPRIS) 연계를 통해 진흥원이 보유한 특허 기술을 검색하고 관련 도면·PDF를 바로 확인할 수 있게 했으며, 연구 장비 온라인 예약 시스템을 도입해 고가 장비 활용의 접근성을 한층 높였다.

아울러 홈페이지 콘텐츠를 유튜브·페이스북 등 SNS로 손쉽게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고, 메인 화면에서 진흥원의 유튜브 영상을 바로 시청할 수 있도록 연동하여 디지털 소통 채널로서의 기능을 강화했다.

윤호열 원장은 “이번 통합 홈페이지 개편은 단순한 디자인 개선을 넘어,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지역 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디지털 플랫폼으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의 결과”라며, “앞으로도 사용자와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전남 바이오산업 발전을 이끄는 대표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양완길 본부장도 “기업과 연구자들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적극 반영해 사용자 친화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뒀다”며,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시스템 개선을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새롭게 개편된 전남바이오진흥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