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현 외교부 장관은 미국 이민 당국의 한국인 근로자 집단 구금으로 불거진 양국 간 비자 문제와 관련해 "한국의 대미투자 선결 조건은 아니지만 실질적으로 아주 중요한 문제"라며 "실질적 투자가 시작되기 전에 어떤 방식으로든 해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조 장관은 17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간담회에서 관련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그는 귀국한 우리 국민들의 미국 재입국 시 불이익이 없다는 정부 입장에 대해 의문을 표하는 외신 질문에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한테서도 확약받았다며 "재입국에는 문제가 없다고 믿는다"고 거듭 강조했다.
'단기 상용 B-1 비자나 전자여행허가(ESTA)의 활용에 대해 기업에게 어떤 안내를 하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어떤 일을 할 수 있느냐의 최종적인 권위 있는 답은 미국 정부가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당장 한국 기업에서 인력이 미국으로 가야 하는 데 대해선 그때그때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합의해서 문제없도록 해결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장기적으로는 새 비자 카테고리를 만든다든지, 주한미국대사관에서 기업인 비자 특별 데스크를 만든다든지 이런 것을 워킹그룹을 통해 신속하게 협의할 계획"이라고도 했다.
조 장관은 교착상태에 있는 한·미 통상 협상과 관련해 '한국이 25% 관세를 받더라도 서두르지 않겠다는 것이냐'는 물음에 "그렇지 않다"면서 "한국 기업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정부가 신속히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다만 미국의 제안 중에는 우리 국민에게 부담을 지우는 내용이 있고, 그 경우 우리는 국회 동의를 받아야 한다"며 "그 외에도 우려스러운 점들이 있는 것을 미국 측에 잘 설명하고 서로 윈윈할 방안을 만들어내야 하므로 협상이 지연되고 있을 뿐"이라고 부연했다.
전날 방중 일정을 마치고 돌아온 조 장관은 시진핑 주석의 방한을 한·중 관계 도약의 계기로 만들려고 한다면서 "한·중 간에는 무엇보다도 한반도에서의 평화와 안정을 도모한다는 데 상호 접점이 있다"고 밝혔다.
또 "지난 30여 년간 중국 경제가 빠르게 발전하면서 이제는 중국 기업들이 (한국 기업과) 협력적 관계보다는 경쟁적 관계 단계로 넘어갔다"면서도 "이건 불가피한 일이고, 여기에 적응해서 한·중 경제 관계를 발전시키는 이슈도 긍정적으로 논의될 것"이라고 기대를 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