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3사 모두 해킹 청문회 소환... KT 집중 타깃

  • 24일 국회 과방위 청문회, 김영섭 KT 대표 참석

  • KT "초소형 기지국 관리 부실 인정, 국민 걱정 죄송"

사진연합뉴스
김영섭 KT 대표가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통신·금융 대규모 해킹사고 청문회'에 참석해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회가 통신·금융 분야에서 잇따라 발생한 대규모 해킹 사고의 원인과 책임을 파악하기 위해 통신 3사와 정부 관계자를 불러 청문회를 열었다. 이번 청문회에서는 최근 KT에서 발생한 소액결제 해킹 사건 경위, 개인정보 관리 부실, 보고 지연 등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는 '통신·금융 대규모 해킹사고 청문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는 김영섭 KT 대표, 서창석 KT네트워크부문장(부사장), 황태선 KT 정보보안실장 상무(CISO) 등이 증인으로 출석했다. 홍관희 LG유플러스 정보보안센터장 전무(CISO)와 이종현 SK텔레콤 통합보안센터장 부사장(CISO) 김승주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등은 참고인으로 참석했다. 정부 측에서는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이 자리했다. 

여야 의원들은 최근 소액결제 해킹 사고를 겪은 KT를 강하게 질타했다. 초소형 기지국(펨토셀) 관리 부실과 단말기식별번호(IMEI) 등 개인정보 유출, 서버 폐기 및 보고 지연 과정에서 KT의 은폐 의혹 등이 집중 추궁 대상이 됐다. 

김영섭 대표는 청문회에 참석해 고개를 숙였다. 김 대표는 "소액결제 관련 여러 사고로 고객뿐 아니라 국민께 불안과 걱정을 끼쳐 드려 죄송하다"며 "펨토셀 관리가 부실했다"고 인정했다. 

김 대표는 구체적 보상이나 제도 개선 방안에 대해서는 "조사 결과를 종합해 결정하겠다"고 했다. 

과기정통부의 관리·감독 책임론도 거론됐다.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은 류제명 2차관을 상대로 "KT가 인증키 등 복제폰 생성을 위한 주요 개인정보가 해킹으로 유출되지 않았다고 주장하지만 유출 위험성이 있지 않으냐"고 따져 물었다. 

류 차관은 "일단 인증키가 유출되지 않은 것으로 KT가 신고했다"면서도 "KT 말에 의존하지 않고 민관합동조사단이 철저히 조사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서버 폐기나 신고 지연 등 고의성이 있는지 파악하는 대로 필요시 경찰 수사 의뢰 등 강력히 조치하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