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남북, 사실상 두 국가…영구분단 의미하는 건 아냐"

  • 기자간담회…"국민 다수가 국가로 인정, 그게 현실"

  • '두 국가론' 둘러싸고 정부 내 엇박자 지적엔 "한 팀"

  • "정보기관, 고농축 우라늄 보유량 2000㎏으로 추정"

정동영 통일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정동영 통일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25일 '평화적 두 국가' 구상과 관련해 남북이 현실적으로 두 국가라는 입장을 다시 확인하면서도 "국가성을 인정하는 것이 영구 분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두 국가론'을 둘러싸고 정부 내에서 엇박자가 나오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소모적 논쟁"이라며 "정부는 한 팀"이라고 일축했다.

정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평화적 두 국가는) 실용적, 현실적 관점이고 유연하게 남북 관계를 보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그는 "중요한 건 주권자의 뜻이다. 서울대 통일연구소가 10년째 하는 조사에 따르면 적게는 50∼60% 국민이 북한을 국가라고 답한다"며 "국민 다수가 국가로 인정한다. 그게 현실"이라고 강조했다.

정 장관은 최근 평화적 두 국가 개념을 지속적으로 제기해 왔다. 앞서 전날 열린 '북한의 2국가론과 남북기본협정 추진 방향' 세미나 환영사에서도 "적대적 두 국가론을 평화적 두 국가로 전환해야 한다"며 "변화의 초점을 '적대성 해소'에 둬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정부는 두 국가론을 지지하거나 인정하지 않는다"고 밝혀 두 국가론을 둘러싼 정부 내 입장차가 드러났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와 관련해 정 장관은 "소모적이고 갈등적인 국가성 논쟁"이라며 "대통령이 밝힌, 어떻게 (남북) 대화와 교류를 복원하느냐, 그리고 오래된 꿈인 4강의 교차 승인을 완성해 북·미 수교, 북·일 수교를 만들어 내느냐가 우리 앞의 실천적 과제"라고 했다. 또 "한 팀으로 용광로에서 의견들을 녹여내 대통령이 제시한 (남북) 관계 정상화, 비핵화를 추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정 장관은 북한 핵 개발 중단의 시급성을 피력하기도 했다. 그는 "오늘 이 시간에도 우라늄 원심 분리기는 돌고 있다"며 "현재 정보기관 추정으로는 (북한의) 90% 이상 고농축 우라늄 보유량을 2000㎏까지 추정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남북관계 개선 돌파구로 북·미 정상회담을 제시하며 "한반도 문제, 북한 문제, 북핵 문제에 관한 한 트럼프 대통령이 희망"이라고 평가했다.

이 밖에 9·19 군사합의의 선제적·단계적 복원 조치에 관해선 "9·19 합의가 복원되기 전이라도 군사분계선 일대 사격훈련과 실기동훈련을 중지하는 것이 맞다는 게 통일부의 입장"이라며 국방부와 협의 중에 있다고 언급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