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광주시장 '중국 AI 산실' 저장대와 인재교류 협력 다짐

  • "AI산업 성패는 인재에 달렸다" 항저우시와도 잇따라 협약

 
강기정 광주시장이 25일 중국 AI 산실 저장대를 찾아 광주의 대학들과 인재 교류를 하기로 했다사진광주시
강기정 광주시장이 25일 '중국 AI 산실' 저장대를 찾아 광주의 대학들과 인재 교류를 하기로 했다.[사진=광주시]


광주광역시가 중국 인공지능(AI) 인재의 산실인 저장대학교와 협력하기로 해 기대를 모으고 있다.
 
강기정 시장 등 광주광역시 대표단은 25일 오후 중국 저장대학교를 방문해 마옌밍 총장 등을 만나 광주지역 대학과 저장대 간 인공지능(AI) 인재 교류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저장대는 중국판 아이비리그라고 일컫는 ‘C9 리그’에 속한 엘리트 대학이다.
 
이 대학은 딥시크의 량원펑(梁文峰), 딥로보틱스의 주추궈(朱秋国), 메니코어테크의 황샤오황(黄晓煌) 등 중국 ‘육소룡(六小龙)’ 3개 기업의 창업가를 배출시켜 더욱 유명해졌다.
 
‘대학 인큐베이터’와 ‘동문창업펀드’를 통해 항저우를 중국판 실리콘밸리로 만든 ‘대학 중심 창업생태계의 핵심 거점’이다.
 
‘C9 리그’는 중국의 명문 9개 대학을 가리키는 용어로 이른바 중국판 아이비리그. 베이징(北京)대, 칭화(淸華)대, 저장(浙江)대, 하얼빈(哈爾濱) 공대, 푸단(復旦)대, 상하이(上海) 교통대, 난징(南京)대, 중국과기대, 시안(西安) 교통대를 말한다.
 
강 시장은 이날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속에서 이공계 뿐만 아니라 인문사회과학 등 전공 제한 없이 전교생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 인재를 육성하고 있는 저장대의 인재양성 시스템에 대해 설명을 듣고, 저장대와 광주 지역 대학 간 인재 교류 방안을 논의했다.
 
마옌밍 총장은 “한국의 음식과 문화를 좋아하고, 한국 대학들과 인연이 깊다”면서 “딥시크의 량원펑 등 육소룡 3개 기업의 창업가를 배출시킨 배경에는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과 저장대의 인재양성 교육과정이 주효했다”고 밝혔다.
 
이어 “광주시가 한국의 인공지능 중심도시를 만들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저장대는 중한 교류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더 많은 광주의 학생들에게 학습 편의를 제공하고 교류하기를 원한다. 저장대가 보유한 정보기술을 나누며 광주시의 전략적 발전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강기정 광주시장 일행이 25일 중국 저장대를 방문하고 AI인재 교류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 사진광주시
강기정 광주시장 일행이 25일 중국 저장대를 방문하고 AI인재 교류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 [사진=광주시]


저장대에는 현재 300여명의 한국 유학생들이 재학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강기정 시장은 “AI 산업의 성패는 인재에 달렸고, 대학이 창업 생태계 중심이 돼야 한다는 것을 저장대 사례가 명확히 보여준다”며 “문화, 과학 등 여러 측면에서 교류 협력 확대를 희망하며, 다양한 전공의 인재가 융합하는 시대인 만큼 하루빨리 저장대와 인재 교류가 가능해지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광주시는 이에 앞서 중국 인공지능(AI)의 심장 항저우시와 우호 협력하기로 했다.
 
광주시는 AI 2단계 사업인 AX실증밸리 사업 6000억원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등 AI산업에 잇따라 청신호가 켜진 가운데 중국 항저우‧저장대와 협력 강화로 ‘모두의 AI’ 실현에 더욱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광주시와 저장대와 인연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8월 저장대 교수와 전공자들을 광주로 초청해 ‘광주 인공지능 한·중 청년포럼’을 열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