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증하는 농업용 드론…사고 실태조사는 '전무'

드론이 물품함을 안양 병목안 시민공원으로 이동하고 있다사진안양시
드론이 물품함을 안양 병목안 시민공원으로 이동하고 있다.[사진=안양시]

전국의 농업용 드론 수가 5년 새 2배 이상 급증했지만 관련 사고 현황은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스마트 농업 확산 속도에 비해 제도적 안전망은 여전히 걸음마 수준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6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이병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전국의 농업용 멀티콥터(드론) 보유 대수는 2910대로 집계됐다. 2020년(1168대) 대비 149%(1743대)  증가한 규모다.

연도별로는 △2021년 1661대 △2022년 2098대 △2023년 2555대로 꾸준히 늘었다. 지역별로는 지난해 기준 △전남(833대) △충남(764대) △전북(578대) 순으로 많았으며, 그 뒤를 △경남(201대) △경북(165대) △강원(137대) △충북(100대) 순이었다. 

증가율은 강원(756%)과 제주(633%), 경북(345%) 순으로 두드러졌다. 이 의원은 “스마트 농업 기술 확산이 전국적으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관리 체계가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실제 8월 21일 충남 논산에서는 농업용 드론 배터리 발화로 추정되는 화재가 발생해 약 2100만원의 재산 피해가 났다. 농업용 드론 관련 사고가 점차 늘고 있지만, 정부는 관련 통계를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의원실이 농업용 드론 사고 현황 자료를 요청한 결과, 주무부처인 드론 보유 현황만, 농촌진흥청은 농기계 등록 현황만 관리하고 있었다. 두 기관 모두 “사고 관련 통계는 별도로 수집하지 않는다”고 답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의원은 “현장의 기술은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데 행정은 과거 기준에 머물러 있다”며 “농업인 안전이 사각지대에 놓이지 않도록 체계적인 실태조사와 관리체계를 시급히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