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피해 709개로 확대…복구율 27% 그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8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를 방문하여 화재로 서비스가 중단된 행정정보시스템 복구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2025108 사진행정안전부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8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를 방문해 화재로 서비스가 중단된 행정정보시스템 복구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2025.10.8 [사진=행정안전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마비된 정부 전산망 피해 규모가 당초 647개에서 709개로 늘어났다. 연휴 기간 온나라문서시스템을 비롯한 일부 시스템은 복구됐지만 전체 복구율은 27.2%에 그치고 있다.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은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대본 회의에서 “내부 관리시스템 ‘엔톱스(nTOPS)’ 복구로 전체 장애 시스템 현황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게 됐다”며 “709개 시스템 목록을 정정해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윤 본부장은 “오전 6시 기준 709개 중 193개가 복구됐다”며 “추석 연휴 동안 54개가 추가로 정상화됐다”고 설명했다. 복구된 시스템에는 공무원 행정문서 플랫폼인 온나라문서시스템과 1365기부포털 등이 포함됐다. 화재 이후 공무원들이 수기로 공문서를 작성해야 했던 불편도 점차 해소되고 있다.

이번 화재는 지난달 29일 국정자원 대전 본원 5층 전산실에서 발생해 전체 시스템 중 절반 이상을 마비시켰다. 7·7-1·8전산실에는 핵심 시스템이 약 330개 집중돼 있다. 이 중 8전산실은 분진 제거를 마쳐 11일부터 재가동이 가능하지만 7·7-1전산실은 피해가 커 복구가 늦어지고 있다.

윤 본부장은 “화재 피해가 컸던 5층 전산실은 당초 대구센터로 이전을 검토했지만 대전센터 내 공간을 활용해 빠르게 복구할 수 있다면 그 방식을 택하겠다”며 “시스템별로 최적의 복구 방안을 유연하게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중대본은 이날 각 부처와 지자체의 복구 건의사항 82건을 점검했다. 이 중 38건은 조치가 완료됐고 44건은 예산 확보와 제도 개선 절차를 병행해 추진 중이다. 정부는 복구 지연으로 누적된 현장 피로를 고려해 인력 지원 확대에도 나선다. 

이번 화재로 국가 행정망뿐 아니라 공무원 공동 클라우드 저장소인 G드라이브가 전소돼 74개 기관, 19만여 명이 저장한 자료가 모두 소실됐다. 외부 백업이 이뤄지지 않아 복구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행안부는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할 때는 백업 체계를 반드시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국민 민원서비스도 계속 마비 상태다. 국민신문고와 정부24 등 주요 행정 포털이 잇따라 중단되면서 국민 불편이 커지자 정부는 3일부터 지방행정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민원상담을 순차적으로 재개했다.

윤 본부장은 “연휴가 끝나 국민들이 일상으로 복귀하는 만큼 각 부처와 지자체는 업무에 만전을 기해 국민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해야 한다”며 “장관으로서 현장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