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버 쯔양(박정원)이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 출석해 '사이버 렉카' 문제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2025.10.14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유튜버 쯔양(본명 박정원)이 ‘사이버 레커(자극적 이슈로 조회수 올리는 유튜버)’로부터 협박과 공갈을 당한 뒤에도 플랫폼의 지원이 늦어 피해가 확산됐다고 밝혔다.
쯔양은 1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 참고인으로 출석해 “피해 당시 아무것도 할 수 없을 만큼 두렵고 막막했다”고 증언했다.
최형두 국민의힘 의원이 “유튜브가 신속히 대응했느냐”고 묻자 쯔양은 “사실 쉽지 않았다"며 "영상은 하루 만에 수십만명이 보고 퍼지는데 삭제 절차가 진행돼도 이미 오해는 커져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신고 후 짧게는 일주일, 길게는 아예 삭제되지 않은 영상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은 “사이버 레커가 좌표를 찍고 조리돌림으로 수익을 얻는 구조 자체를 개선해야 한다”며 플랫폼 책임 강화를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