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임직원에 줄 주식, 자사주 소각 회피 목적 아니다"

  • 삼성, 사전 공시 통해 이미 10조원 규모 자사주 매입

삼성전자 사옥 사진연합뉴스
삼성전자 사옥 [사진=연합뉴스]

삼성전자가 최근 발표한 '성과연동 주식보상(PSU)' 제도를 놓고 자사 노동조합의 비판이 나오자, 이에 공식 반박에 나섰다.

삼성전자는 16일 오후 사내 게시판을 통해 "PSU 제도를 상법 개정에 따른 자사주 소각 의무를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행했다는 루머는 사실과 다르다"라는 내용의 사내 공지문을 올렸다. PSU 제도가 향후 통과될 상법 개정안을 감안한 '꼼수'라는 노조의 주장을 정면 일축한 것이다. 

앞서 14일 삼성전자는 3분기 잠정실적 발표 직후 PSU 제도 시행을 발표했다. 3년 후 주가에 따라 자사주를 직원 1인당 0~600주 차등 지급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에 따라 실제 지급량은 주가 상승률에 따라 달라진다. 주가 상승률이 20% 미만인 경우 임직원들은 한 주도 받지 못하고, 40~60% 미만이면 직급에 따라 200~300주, 100% 이상이면 400~600주를 받게 된다. 기존 성과급과는 별개의 일회성 보상책인 셈이다.

이를 두고 삼성그룹 초기업노동조합 삼성전자지부는 15일 "삼성전자가 보유 중인 자사주 소각을 회피하기 위해 임직원에게 자사주를 지급하는 보상 정책을 마련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현재 국회에서 추진하고 있는 3차 상법 개정안은 취득한 자사주를 6개월이나 1년 이내에 소각하도록 의무화한 법안으로, 삼성전자가 이를 이용하기 위해 PSU 제도를 도입했다는 것이다. 

삼성전자는 사전 공시를 근거로 "2024년 11월부터 2025년 9월까지 총 10조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했고 이 중 8조4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는 소각 목적이라고 이미 공시한 바 있다"고 밝혔다. 이어 삼성전자는 "임직원 보상 목적으로 매입한 자사주는 2027년까지 소진할 예정이므로 2028년 이후 지급될 PSU 자사주는 향후 추가로 매입해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미 2~3년 전부터 미래 성과와 임직원 보상책 개선 차원에서 PSU 제도를 구상해 온 것"이라며 "상법 개정안 회피 목적이라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