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는 이날 서울 광화문 사옥에서 소액결제 피해 관련 전수조사 결과를 브리핑하며 이 같은 내용을 공개했다. 불법 기지국(펨토셀) 아이디 16개가 새로 확인됐으며 소액결제 피해 고객도 6명 늘었다. 개인정보 유출 정황이 확인된 고객은 총 2만2227명으로 2197명이 증가했다. 추가된 6명의 피해 금액(319만원)을 포함해 전체 피해액은 약 2억4000만원으로 집계됐으며, 결제 건수는 764건에서 13건 늘어난 777건으로 파악됐다.
서창석 KT 네트워크부문 부사장은 "소액결제 최초 발생 시점은 기존과 동일하게 지난 8월 5일"이라며 "다만 개인정보 유출 정황은 전수조사 결과 지난해 10월부터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어 "추가 접속 이력이 확인된 약 2000여명의 고객에게 문자와 전화를 통해 유심 교체와 보호 서비스를 안내하고 있다"며 "기존 피해 고객과 동일한 절차로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이번에 새로 발견된 불법 펨토셀 아이디 16개는 불법 기지국과 소액결제 탐지 로직을 정교화하는 과정에서 추가 포착됐다.
특히 소액결제 피해가 발생한 '5번 펨토셀'의 경우 기존 3개월 분석 기간에는 활동 이력이 없었으나 13개월로 기간을 확대한 결과 과거 접속 기록이 새롭게 파악됐다. 구 상무는 "해당 펨토셀 체계가 자사 아이디 방식과 유사하나 숫자 자체는 내부 시스템에 존재하지 않는 비인가 아이디였다"며 "망 연동 정보가 있었기 때문에 접속이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KT는 추가 피해 고객에 대한 위약금 면제 여부와 관련해 "민관합동조사단 조사 결과를 종합해 검토 후 발표하겠다"는 유보적인 입장을 내놨다.
구 상무는 "유심 교체 등 보호 조치는 우선 피해 고객 중심으로 진행하고 있다"며 "이번에 새로 확인된 고객도 지난달 18일부터 소급 적용되도록 조치했다"고 부연했다.

KT는 불법 펨토셀에 대한 모니터링이 미흡했던 점을 인정하며 시스템을 재정비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또 불법 펨토셀 장비 추가 가능성에 대해서는 "경찰 수사가 진행 중인 상황"이라며 정확한 관계 확인 후 발표하겠다는 방침이다.
서 부사장은 "현재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지 않은 비인가 장비는 망에 접속할 수 없도록 차단 기능을 적용했다"며 "비정상 패턴을 보이는 장비가 감지될 경우 상위 시스템과 연동해 응답이 없으면 자동으로 연결을 끊는 로직을 개발 중이며 이달 안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민관합동조사단과 경찰 수사에 성실히 협조하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