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배터리 수출통제, 군사용 고성능 배터리 등 우위 굳히고 경쟁국 발전 둔화 목적"

  • 中, 배터리 공급망 전반으로 수출통제 확대

중국 푸젠성 닝보에 있는 중국 배터리업체 CATL 본사사진로이터연합뉴스
중국 푸젠성 닝보에 있는 중국 배터리업체 CATL 본사[사진=로이터·연합뉴스]

중국이 최근 희토류와 함께 리튬이온배터리 관련 수출통제를 강화한 것은 군사무기용 고성능 배터리를 중심으로 관련 업계에서의 우위를 굳히는 동시에 경쟁국가들의 발전 속도를 둔화시키기 위함이라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6일 보도했다.

앞서 중국 상무부는 지난 9일 희토류·배터리 관련 수출통제 강화 조치를 발표하고 내달 8일부터 고급 리튬이온배터리 완제품과 양극재, 흑연 음극재, 배터리 제조 기계 등도 수출통제 대상에 올리기로 했다. 이에 해당 품목의 수출업체는 군수·민수용으로 사용되는 이중용도 품목 수출통제 관련 규정에 따라 중국 정부의 수출 허가를 받아야 한다.

적용 대상은 에너지밀도가 300Wh/㎏ 이상인 고성능 리튬이온배터리와 생산 설비, 배터리 및 장비 제조 기술, 배터리용 음극재의 핵심인 흑연과 리튬인산철 등 양극재 원료 일부, 음극재·양극재 생산 설비 및 기술 등이다. 

이는 중국이 지난 7월 리튬인산철(LFP) 및 리튬망간인산철(LMFP) 배터리에 대한 재료 준비 기술과 갈륨 기술 등에 대한 수출통제 조치를 발표한 데 이은 후속 조치로, 배터리 선진국인 중국이 배터리 산업에 대한 장악력을 한층 강화했다는 평가이다. 배터리 재료부터 시작해 장비와 기술에 이르기까지 배터리 공급망 전반에 대한 통제력을 높여가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SCMP는 중국의 이번 조치가 군사용 고성능 배터리의 전략적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는 상황에서 나왔다고 평했다. 주로 주행거리와 양산 비용을 중시하는 전기차 배터리와 달리 군사용 배터리는 에너지밀도, 경량 설계, 극한 온도에서의 성능과 안전성 등을 중시한다.

한편 이처럼 중국이 과감한 배터리 수출통제 조치를 내놓은 데에는 지난달 '차세대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부문에서의 성과가 크게 작용했다고 전했다. 전고체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을 쓰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와 달리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배터리로, 최근 중국과학원은 배터리 마감에 있어 액체 밀봉처럼 작용하는 자체 발열 과정을 통해 큰 외부 압력 없이도 배터리 내부 레이어의 틈을 줄이는 기술을 개발해 실용화 가능성을 높였다고 SCMP는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