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중앙박물관은 조계종 탁본 명장 흥선(興善) 스님으로부터 전국 각지에서 채탁한 금석문 탁본 등 총 558건 1143점의 소장품을 수증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탁본 기증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로, 삼국시대에서 조선 시대에 이르는 우리 금석문화의 흐름을 포괄한다.
흥선 스님은 불교중앙박물관장과 김천 직지사 주지 등을 역임하였으며 40여 년간 전국의 주요 금석문을 채탁해 온 탁본 전문가로 2024년에 대한불교조계종의 첫 탁본 분야 명장으로 지정되었다. 흥선 스님의 탁본은 부정확하며 단편적으로 이루어진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고, 금석문의 가치를 후세에 온전히 전하기 위하여 전국에 있는 금석문을 체계적으로 조사·채탁하여 모은 것이다.
이번에 수증한 탁본은 이러한 집대성의 일환으로 스님이 직접 채탁하거나 감독하여 제작한 것으로, 삼국시대에서 조선 시대까지 한국의 금석문을 폭넓게 망라하는 자료이다. 또한, 불교사적 성격의 탑비·사적비부터 역사 기록물인 승전비·묘도문자에 이르기까지 주제 면에서 다양하며, 전국 각지에서 채탁되어 지역적 분포 또한 폭넓다.
이번에 수증한 탁본 중에는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를 비롯하여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여수 통제이공수군대첩비 등 보물로 지정된 역사적으로 큰 의미를 지니는 금석문의 탁본들이 포함되었다. 또한, 김정희, 한호, 이삼만 등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서예가의 글자를 새긴 예, 미불과 구양순 등 중국 서예가의 글자를 집자해 새긴 예도 있어 신뢰도 높은 서예사 연구 자료로 평가된다.
유홍준 관장은 “이번 기증은 탁본의 예술성과 금석문 연구의 중요성을 국민과 공유하는 출발점”이라며 “금석문과 탁본의 가치를 널리 나누기 위한 기증의 뜻을 반드시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