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퇴임 이후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로 복귀한 안 전 장관은 21일 서울대 국제대학원에서 열린 '트럼프 시대의 산업무역 정책' 세미나에서 "상호관세 협상이 끝나면 제2, 제3의 물결이 올 것"이라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쯤 진행하게 될 관세 협상이 끝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안 전 장관은 반도체와 의약품 등 세부 품목에 대한 협상이 남아있으며 이후에도 무역 제한(trade limitation) 압박이 가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그는 "트럼프 행정부 1기는 반덤핑 관세와 농업 관세를 주로 활용했었다"며 "제3의 물결이 올 때는 민간기업 영역에서 압력이 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제조업에 AI를 도입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거대한 데이터가 폭넓은 스펙트럼의 한국 제조업에 있다"며 "미국과 일본 등 전략적 동반자 국가와의 에너지 협력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안 전 장관은 "최근 미국 AI 기업들은 전력 공급을 소형모듈원자로(SMR)에 의존하려 하고 있기 때문에 원자력발전은 또 다른 협력 분야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