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의원은 이날 오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에 “관세 협상 타결은 다행스러운 일이다”며 “대미 수출과 기업 활동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자동차 관세를 낮춘 점은 분명히 긍정적이다”고 밝혔다.
그는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3500억 달러 선불’ 발언이 남긴 충격 탓에 협상 결과에 대한 착시효과가 있다”며 “정부가 애초 5% 수준인 약 175억 달러의 현금 투자라고 설명했던 부분이 이번 합의에서는 10년간 2000억 달러 현금 투자로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이어 “외국에서 돈을 빌려 미국에 투자하게 될 수도 있다는 말이 나오는 걸 보면 우리 경제가 부담하기에는 조금 과도한 것 아닌가 하는 평가도 있을 수 있다”며 “관건은 이 2000억 달러가 단순히 부담으로 남지 않고 원금이 회수되며 투자수익을 창출하는 구조로 운용되느냐에 달려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지금 필요한 것은 성급한 자화자찬이 아니다”며 “투자 방식과 이행 조건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국회의 검증 절차에 성실히 임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향후의 운용 과정도 면밀한 국민의 모니터링 하에 진행돼야 한다”며 “핵추진잠수함 승인 논의는 의미 있는 진전이다”고 평가했다.
또 “민감한 군사기밀 사안을 공개적으로 언급하는 것이 적절했는지는 의문이 남는다”며 “한중 정상회담을 불과 이틀 앞둔 시점에 이런 언급이 나온 것은 실언이 아니었는지 생각된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아직 외교 슈퍼위크가 진행 중이다”며 “한일 정상회담과 한중 정상회담 등 여러 일정이 남아 있는데 정부가 끝까지 국익을 위한 실용 외교의 시간이 되도록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