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금융권, 부실 PF 정리 속도…6개월 새 사업장 40% 줄어

  • 저축銀, 정상화 펀드 5차까지 조성… 상반기 1.4조 정리

  • 새마을금고, 부실채권 자회사 출범…부실PF 정리에 속도

오픈AI 달리DALL-E를 이용해 만든 이미지 자료DALL-E
오픈AI '달리(DALL-E)'를 이용해 만든 이미지 [자료=DALL-E]

올해 제2금융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정리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저축은행과 새마을금고 등이 정상화 펀드 조성과 부실채권 매각을 통해 사업장 정리에 적극 나선 영향으로 풀이된다. 금융당국도 연체율 관리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어, 연내 부실 정리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4일 정보공개 플랫폼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매각이 추진 중인 부동산 PF 사업장은 전국 236곳으로 집계됐다. 이는 6개월 전인 4월 말(395곳)보다 159곳(40.3%) 감소한 수치다.

업권별로는 증권사가 추진 중인 PF 사업장이 62곳(26.3%)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새마을금고 46곳(19.5%), 농축협 44곳(18.6%), 저축은행 26곳(11.0%), 신협 12곳(5.0%)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축은행권의 부실 사업장은 4월 말 123곳에서 26곳으로 급감하며 가장 큰 폭의 감소세(78.9%)를 보였다. 새마을금고 역시 같은 기간 77곳에서 46곳으로 40% 줄었다. 반면 농축협은 41곳에서 44곳으로 소폭 늘었다.

저축은행 업권의 부실 정리 속도가 두드러진 것은 ‘부동산 PF 정상화 펀드’의 효과가 컸다는 분석이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지난해 1월 330억원 규모의 1차 펀드를 시작으로, 같은 해 6월 5000억원 규모의 2차 펀드를 연이어 결성했다. 올해도 3차(2000억원), 4차(1조2000억원) 펀드를 차례로 조성하며 부실채권 매입에 속도를 높였다. 이를 통해 올 상반기에만 1조400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매각했다. 가장 최근인 지난 9월 말에는 7100억원 규모의 제5차 정상화 펀드도 추가로 조성했다.

새마을금고도 올해 상반기에만 3조800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정리하며 건전성 제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7월에는 부실채권 관리 전담 자회사인 ‘MG새마을금고자산관리(MG AMCO)’를 출범시키고, 부동산 PF 구조조정에 속도를 내고 있다. 동시에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와 연합자산관리(유암코) 등 외부 기관과의 협력 채널을 늘리며, 연체 자산 관리 체계의 효율화를 추진 중이다.

금융당국 역시 상호금융권의 연체율 관리에 드라이브를 걸며 부실채권 매각을 통한 자산건전성 개선을 적극 주문하고 있다. 최근 각 기관으로부터 연체율 관리 계획과 목표치를 제출받아 검토 중이며, 연말까지 부동산 PF를 중심으로 부실채권 정리 목표를 구체화할 계획이다. PF 부실이 상호금융권의 연체율 상승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만큼 연내 가시적인 정리 성과를 내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저축은행 업권 관계자는 “부동산 경기 회복이 지연되고 있어 신규 부실 사업장이 다시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면서도 “다만, 2금융권이 선제적으로 부실을 털어내고 있다는 점은 향후 건전성 회복에 긍정적인 신호로 보인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