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SK텔레콤(SKT)에 이어 전 고객을 대상으로 유심(USIM) 무상 교체에 나선다. 해킹 피해 고객에만 유심카드 교체를 지원할 계획이었지만 국정감사에서 거듭된 국회의원들의 압박 속에 내린 결정이다. 전문가들은 "전 고객 유심 무상 교체는 과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한다.
5일 KT는 이날 오전 9시부터 KT닷컴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한 고객을 대상으로 유심 무상 교체 서비스를 시작했다. KT는 시행 초기 신청이 집중될 가능성을 고려해 광명, 금천 등 피해 발생 지역에서 우선 교체를 진행한다.
오는 19일부터는 수도권 및 강원 전 지역, 내달 3일부터는 전국에서 유심 무상 교체가 가능하다. 오는 11일부터 대리점 방문이 어려운 고객을 위해 택배 배송도 개시한다.
증권가에 따르면 이번 유심 교체 비용은 약 800~1000억원이 들 것으로 예상한다. 김회재 대신증권 연구원은 "예상되는 교체 비용은 약 1000억원 수준으로 4분기 실적에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김아람 신한투자증권 연구원도 "유심 원가 5000원으로 보고, KT와 알뜰폰 가입자 1770만명을 대상으로 교체한다고 했을 때 약 880억원의 비용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KT 전 고객을 상대로 유심을 교체하는 것은 과도한 조치라고 지적한다. 기술적 위험이 낮기 때문이다.
염흥열 순천향대 정보보호학과 교수는 "SKT 유심 해킹 사태의 경우 '암호화가 안 된 인증키'가 나간 사안이라 이론적으로 유심의 복제 및 도청이 가능했지만 KT는 펨토셀을 통해 가입자식별번호(IMSI)와 국제단말기식별번호(IMEI) 정보가 유출된 것"이라며 "유심 복제에 필요한 인증키가 나간 것은 아니기 때문에 기술적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설명했다.
박기웅 세종대 정보보호학과 교수 역시 "유심 교체가 유출된 정보를 무력화하는 여러 방법 중 하나겠지만 최선이라고는 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유심 교체 비용으로 보안투자를 늘리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는 얘기다.
이번 조치가 KT가 할 수 있는 가장 근본적 대응이었다는 의견도 있다. 해킹 조사과정에서 유출된 정보가 추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유심 카드 교체가 가장 합리적인 해결책이었다는 것이다.
특히 향후 복제폰, 모바일 결제 해킹 피해가 발생할 경우 통신사가 책임 소재를 면하기 위해선 전 고객을 대상으로 한 유심 무상 교체 비용은 일종의 보험비에 가깝다는 의견도 나온다.
김명주 서울여대 정보보호학과 교수는 "유심 교체로 추가 사고가 발생할 경우 통신사 책임 여부를 둘러싼 논란이 발생할 수 있다"며 "전 고객의 유심을 교체해 이 같은 논란을 사전에 방지하려는 선제적 판단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유심 전면 교체가 자원 낭비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소에 따르면 유심카드 한 장이 생산부터 폐기까지 배출하는 탄소량은 약 229g이다. 이를 KT 회선 1700만개 전체로 환산할 경우 약 3893톤(t)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셈이다. 이는 승용차 846대가 1년 동안 배출하는 온실가스와 맞먹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