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원삼면 SK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 조성이 막바지 단계에 접어든 가운데, 원삼면 죽능 6리 일원에서 진행 중인 폐기물 매립장 부지 토목공사가 또다시 주민 갈등의 불씨가 되고 있다.
최근 SK에코플랜트가 주관한 공사가 마을 주거지로부터 불과 20미터 앞까지 확장되면서, 오랜 기간 발파진동·소음·비산먼지로 고통받아 온 죽능 6리 주민들의 불안과 분노가 극에 달하고 있다는 상황이다.
주민 A씨는 "창문을 열 수도 없고, 발파할 때마다 집이 흔들린다. 이제는 생활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라며 "세계 최대의 반도체 산업단지를 만든다 더니 주민들의 생존권을 흔들고 있다. 대기업이 주민들을 전적으로 무시하는 처사가 아니면 무엇이냐"고 울분을 토로했다.
당초 SK에코플랜트 측은 일정 금액을 마을 기금 형태로 지원할 의사를 전했지만, 주민들은 체감한 피해 규모와는 차이가 커서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주민들은 "기준치라는 숫자 뒤에 숨지 말고, 현장에서 고통받는 주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라"고 촉구했다. 이의를 제기한 죽능 6리는 산단 인접 6개 마을 중에서도 가장 오랜 기간에 걸쳐 공사 피해를 입는 지역이다. 토목공사는 수년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죽능 6리 주민들은 지난 3~7일 마을 입구에서 "우리의 삶터를 지켜 달라"며 차량 집회를 벌이기도 했다.
집회를 주도한 '산단인접주민 권익·보상협의회'는 "주민들은 단순한 금전적 보상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산업단지 인접 지역의 균형 있는 발전과 생존권 보장을 요구하고 있다"며 "거대한 LNG 열병합발전소, 산업폐기물 매립장, 불화수소 등 유해 물질 취급 업체들이 인근에 들어설 예정인데, 주민의 건강과 안전을 담보로 한 개발은 결코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SK에코플랜트가 진정으로 상생의 의지가 있다면, 주민들과 진정성 있는 대화를 재개해야 한다. 주민 의견을 무시한 채 공사를 강행한다면 집회는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예정"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SK에코플랜트는 "모든 공사는 법정 기준치를 준수하고 있으며, 기준 수치를 넘긴 적이 없으므로 피해로 인정할 수 없다. 피해를 주장하려면 직접 증명하라"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