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는 기후에너지환경부, K-water, 한국환경공단과 함께 오는 12일부터 15일까지 대구 엑스코에서 ‘대한민국 국제물주간 2025’를 개최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 대구시는 물 분야 해외도시 대표, 학계·기관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세계물도시 포럼’과 ‘대구물산업 포럼’을 중심으로 국제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물 산업 해외 진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한다.
2015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는 ‘세계물도시 포럼(World Water Cities Forum, WWCF)’은 대구시가 주도하는 세계 물 문제 협력 플랫폼으로, 물 선진도시와 개도국 도시 간 물 관련 정책과 기술을 공유하고 논의하는 중요한 장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포럼에는 핀란드 미켈리, 일본 구마모토, 방글라데시 다카, 나이지리아 콰라 등 12개국 9개 도시와 인도네시아 물협회, 세계물위원회(WWC), 아쿠아페드(AquaFed), 이클레이 코리아 등 8개 기관이 참여한다.
포럼은 13일 오후 2시 개막식을 시작으로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 세션으로 나눠 진행된다. 공공 세션에서는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물관리 정책과 도시 간 협력 방안을 논의하며, 민간 세션에서는 민관 협력과 스마트 물 기술의 해외 진출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특히 민간 세션에는 국가물산업클러스터 입주기업협의회(KWCC)와 대구 물 기업 6곳인 블루센, 에이티티, 문창, 유솔, 이룸기술, 한국유체기술이 참여해 기업의 핵심 기술과 제품, 해외 진출 사례를 공유한다.
포럼 본 행사에 앞서 대구시 홍보관에서는 지난해 첫 참석을 계기로 인연을 맺은 인도네시아 물협회와 대구시 간 물 산업 협력 업무 협약(MOU)을 체결한다.
이를 통해 양국 물 기업 간 교류를 촉진하고, 기술·정책·인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인도네시아 물협회는 자카르타에 있는 하·폐수 관련 기업 3개사와 함께 참여해 대구시 물 기업들과 비즈니스 매칭 상담회도 진행한다.
포럼 개막에 앞서 11일에는 인도네시아의 물 기업 대표단 및 해외 연사단을 환영하는 리셉션이 열린다. 이 자리는 세계 각국의 참가 도시 간 교류 협력을 넓히는 네트워킹의 장이 될 것이다.
이어지는 ‘대구물산업 포럼’에서는 물 산업 진흥 정책 방향과 대구시의 추진 성과를 공유하며 향후 발전 방안을 논의하는 산·학·연·관 협력의 장이 마련된다.
홍성주 대구광역시 경제부시장은 “이번 국제물주간 행사가 ‘물의 미래를 함께 여는 스마트 혁신’이라는 주제 아래 전 세계 도시와 기관들이 협력해 지속 가능한 물 미래를 모색하는 뜻 깊은 자리가 되길 기대한다”며 “대구시는 앞으로도 글로벌 물협력도시로서 국제 네트워크를 더 강화하고, 스마트 물 기술과 혁신을 선도하는 물 산업 중심도시로 발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