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 사고로 적자전환했던 SK텔레콤이 본업인 통신 사업 강화와 미래 신사업인 인공지능(AI) 두 축으로 조직개편과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 고개 신뢰가 중요한 통신 사업과 속도가 생명인 AI 사업을 분리해 최적의 효율을 거두겠다는 의도다.
13일 정재현 SKT CEO는 "통신과 AI 사내회사(CIC) 체제는 각 사업 특성에 맞춘 최적화된 업무 방식과 의사결정 체계를 갖추기 위한 선택"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통신서비스(MNO) 사업의 고객 신뢰 회복과 AI 사업의 실질적 성과 창출을 이뤄내겠다"고 강조했다.
MNO CIC(한명진 CIC장)는 고객 신뢰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본원적 경쟁력 강화에 방점을 두고 관련 기능과 역량 통합에 나선다.
마케팅은 상품·서비스, 영업 중심으로 재편한다. 통신사업 경쟁력을 높이고, 엔터프라이즈(B2B) 사업은 기술 지원 조직을 전진 배치해 상품과 솔루션 경쟁력 강화를 모색한다.
네트워크는 인프라 영역의 AT/DT 실행력을 제고하는 조직으로 구성하는 한편 MNO의 AT/DT를 가속화해 기존 사업과 유기적인 연계성을 꾀하는 등 본원 경쟁력 강화(O/I)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9월 출범한 AI CIC(정석근, 유경상 CIC장)는 공동 CIC장을 중심으로 실질 사업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핵심 사업과 기술 중심의 역량 결집에 나선다. AI CIC 내 팀 단위 조직은 프로젝트 형태로 구성해 빠른 시장환경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출 계획이다.
사업 영역은 에이닷 사업을 중심으로 한 △B2C AI △인더스트리얼 AI △데이터플랫폼 △AI 클라우드 △피지컬 AI 등의 사업을 추진하는 B2B AI, 메시징 사업과 인증·페이먼트 사업을 담당하는 디지털플랫폼사업, 데이터센터 사업을 총괄하는 AI DC 등으로 재편한다.
기술 영역은 플랫폼과 서비스 등의 개발을 담당하는 플랫폼과 파운데이션 모델 등을 개발하는 AI 모델을 중심으로 개편한다. 양대 CIC를 지원하는 스태프 조직은 현업을 밀착 지원하는 전문가 조직으로 개편된다.
통합보안센터는 조직과 인력을 지속 확충해 보안 역량 강화를 주도하고, CR(대외협력)과 PR 기능을 통합한 컴(Comm)센터를 신설한다.
주요 경영진의 의사결정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법무(GC)센터를 신설하고, 재무(CFO) 중심의 경영관리센터에는 전략 기능을 통합한다.
SKT는 2026년 임원 인사 방향을 책임 경영을 위한 리더십 변화에 초점을 뒀다. 총 11명의 임원을 신규 선임해 전진 배치했다. CIC 체제에서 실질적인 사업 성과와 회사의 성장을 모색하기 위해 실행력과 전문성을 두루 갖춘 인재 발탁이라는 기준에 따라 임원을 선임했다는 설명이다.
임원 규모를 소수정예화하고, 향후 경영 환경 및 전략 방향에 따른 수시 인사를 통해 전사적인 조직 유연성도 높인다는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