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10대 수출 주력 업종, 2030년 중국에 역전

  • 국내 기업 열 중 여섯, 최대 수출 경쟁국 '중국' 지목…시간 지날수록 격차 더 벌어질 듯

최대 수출 경쟁국가로 중국을 꼽았다사진한경협
국내 자동차·반도체 등 10대 수출 주력 기업 10곳 중 6곳이 최대 수출 경쟁 국가로 중국을 꼽았다.[사진=한경협]
한국 10대 수출 주력업종의 기업경쟁력이 2030년에는 전 업종에서 중국에 뒤처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국내 기업들은 수출 주력 산업 대부분이 중국과 미국보다 밀리고 있다고 진단했다.

17일 한국경제인협회는 자동차·반도체 등 10대 수출 주력 업종을 영위하는 매출액 1000대 기업 가운데 200개사를 대상으로 '한·미·일·중 경쟁력 평가'를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62.5%가 최대 경쟁국으로 중국을 꼽았다고 밝혔다. 미국은 22.5%, 일본은 9.5% 수준이었다.

2030년에도 중국을 최대 경쟁국으로 예상한 비중은 68.5%로 5년 전보다 6%포인트 더 상승했다. 기업들은 중국과의 수출 경쟁이 앞으로 더 심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의 종합 기업경쟁력을 100으로 놓고 비교한 결과, 2025년에는 미국 107.2·중국 102.2·일본 93.5이라고 응답했다. 2030년에는 미국 112.9·중국 112.3·일본 95.0으로 나타났다.

한경협은 "국내 기업들은 이미 한국 경쟁력이 미국과 중국에 미치지 못한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5년 뒤에는 중국이 미국과 사실상 대등한 수준이 될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고 해석했다.

업종별 경쟁력에서도 변화는 뚜렷했다. 2025년 현재 중국이 한국보다 앞선 업종은 철강(112.7), 일반기계(108.5), 이차전지(108.4), 디스플레이(106.4), 자동차·부품(102.4) 등 5개다. 반면 반도체(99.3), 전기·전자(99.0), 선박(96.7), 석유화학·정유(96.5), 바이오헬스(89.2) 등 5개 업종은 한국이 아직 우위에 있다고 조사됐다. 하지만 2030년 전망에서는 10대 주력업종 전 분야에서 중국이 한국을 앞설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과 비교하면 2025년 현재 한국이 우위인 업종은 철강(98.8), 선박(90.8), 이차전지(89.5) 등 3개에 불과했다. 2030년에는 한국 우위 업종이 선박(90.0), 이차전지(93.4) 등 2개로 줄어들 전망이다.

중국은 가격경쟁력·생산성·정부지원에서 한국을 압도했다. 2025년 한국의 경쟁력을 100으로 놓고 봤을 때 중국의 경쟁력을 가격경쟁력(130.7)·생산성(120.8)·정부지원(112.6)로 평가했고, 2030년에는 가격경쟁력(130.8)·생산성(123.8)·정부지원(115.1)로 격차가 더 커질 것으로 봤다.

미국은 상품브랜드(132)·전문인력(126.2)·생산성(124.7)·핵심기술(124)에서 두드러진 우위를 보였다. 설문에 참여한 기업들은 2030년에 이들 분야의 한·미 격차가 더 벌어질 것이라 응답했다.

기업들은 경쟁력 약화 요인으로 국내 제품경쟁력 저하(21.9%), 대외리스크 증가(20.4%), 내수 부진(19.6%), AI 등 핵심기술 인력 부족(18.5%) 등을 지목했다. 정부에 대해서는 대외 리스크 최소화(28.7%), 핵심인력 양성(18.0%), 세제·규제 완화 및 노동시장 유연화(17.2%), 미래기술 투자 확대(15.9%) 등을 요청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