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는 서울시가 광화문에 조성하는 상징 공간인 '감사의 정원'과 관련해 행정안전부에 사업의 법적·절차적·내용적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 보고할 것을 지시했다.
감사의 정원은 6·25전쟁 참전국에 대한 감사의 의미를 담아 서울시가 조성 중인 상징 공간이다. 서울시는 앞서 지난 2월 "한국전쟁 75년을 맞아 광화문 광장에 우방국에 감사를 전하고 세계와 소통하는 공간을 만든다"고 밝힌 바 있다.
김민석 총리는 17일 감사의 정원 공사 현장을 둘러본 뒤 "광화문은 대한민국의 얼굴이고 국가의 상징 공간이고, 문화 국가 대한민국의 어떤 미래 상징이기도 한 곳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세종대왕과 이순신을 모신 공간에 '받들어총' (형태의) 석재 조형물을 설치하는 것에 대해 국민께서 이해하실지 의문"이라며 "외국에서 돌을 받는다는 전제하에서 (사업을) 하는데 확약이 안 돼 있는 상태라고도 들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렇게 (사업을) 서두를 필요가 있는가, (사업) 취지는 이 광화문이 아닌 다른 곳에서도 충분히 실현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생각이 든다"고 덧붙였다.
김 총리는 "이런 문제는 국가대계 차원에서 멀리 보고, 국민의 뜻을 충분히 반영하고 여쭤보면서 합리적으로 하는 게 좋지 않겠는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전했다.
최근 김 총리는 '종묘 앞 재개발'과 '한강버스 사고' 등을 두고 오세훈 서울시장과 공방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 주요 사업인 '감사의 정원' 건을 두고 또다시 제동을 걸었다. 김 총리는 서울시장 출마설에 거듭 선을 긋고 있지만, 오 시장과 대립하는 모양새가 반복되고 있는 셈이다.
김 총리는 지난 10일 종묘를 직접 방문해 외부 조망을 점검한 뒤 "문화와 경제, 미래 모두를 망칠 수 있는 결정을 해선 안 된다"며 서울시의 재개발 계획에 우려를 표했다. 또 16일에는 강바닥에 걸려 멈춤 사고가 발생한 한강버스 안전성에 우려를 표하며 "서울시는 행안부와 협조해 이번 사고의 원인을 철저히 조사하라"고 지시했다.
오세훈 시장은 10일 페이스북을 통해 "중앙정부가 나서 일방적으로 서울시를 매도하고 있어 유감"이라며 김 총리에게 토론을 제안했다. 이어 16일에도 "국무총리께서 특정 기관의 일방적인 입장에만 목소리를 보태고 있다"고 거듭 반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