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세운4구역 재개발 시뮬레이션 공개…"전혀 숨 막히지 않아"

  • 주변 건축물·수목 고려...과학적으로 구현

  • 오세훈 "세계유산영향평가 법적 대상 아냐…종묘일대서 180m 밖에 있어"

오세훈 서울시장이 18일 서울 중구 서울시의회에서 열린 제333회 정례회 시정질문에 참석해 세운4구역 재개발과 관련된 자료를 들고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18일 서울 중구 서울시의회에서 열린 제333회 정례회 시정질문에 참석해 세운4구역 재개발과 관련된 자료를 들고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시가 종묘 인근 세운지구 재개발과 관련해 완공 후 예상도를 첫 공개했다. 시는 이번 시뮬레이션을 통해 주변 건축물과 수목을 고려해 과학적으로 구현했다고 강조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8일 제333회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세운4구역 재개발 3D 시뮬레이션을 공개하며 "종묘 정전 앞 상월대에서 본 시뮬레이션 결과로, 건물이 눈을 가리고 숨을 막히게 하는 수준이 전혀 아니다"라며 "총리와 문체부 장관이 종묘를 방문했던 그 위치에서 바라보는 시선"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국가유산청은 세운4구역을 쟁점화할수록 원하는 결과를 얻기 어렵다"며 "유네스코는 정치적 쟁점화할 경우 개입을 자제한다"고 설명했다.

해당 3D 이미지는 정전에서 바라볼 때 시야의 가운데 부분에 남산타워가 보이고, 왼쪽으로 세운지구가 위치하고 있다. 정면 오른쪽으로 인사동 숙박 시설이 수목선위로 일부 노출돼 있다.

이번 사업은 시가 2022년 4월 발표한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 핵심사업으로 ‘세운재정비 촉진지구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세운상가군을 단계적으로 철거하고 그 자리에 약 5만㎡의 대규모 도심공원을 조성해, 북악산에서 종묘와 남산을 잇는 도심 녹지축을 완성하는 것으로 목표로 하고 있다.
 
종묘 정전 상월대에서 세운지구를 바라본 시뮬레이션 사업시행계획 인가 완료된 구역 추가 사진서울시
종묘 정전 상월대에서 세운지구를 바라본 시뮬레이션 (사업시행계획 인가 완료된 구역 추가). [사진=서울시]
세계유산 영향평가 요구에는 강한 유감을 드러냈다. 오 시장은 "국가유산청이 영향평가를 받으라 하지만 법적으로 평가 대상 지역이 아니다"며 "종묘 일대 세계유산지구 내 완충구역을 지정하더라도 100m 이내 확률이 높은데, 세운4구역은 180m 밖에 있어 영향평가 대상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세운4구역은 법적으로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 밖에 있지만 시는 종묘 경관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서울시 앙각 기준을 세운지구까지 확대 적용했다는 입장이다. 해당 앙각 기준에 따르면 종로 변은 101.1m, 청계천 변은 149.4m까지 가능하지만 시는 경관 영향을 고려해 종로 변은 98.7m, 청계천 변은 141.9m로 계획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세운지역 재개발 사업은 종묘에서 남산까지 이어지는 거대한 녹지축을 조성해 종묘의 역사적·문화재적 가치를 더욱 돋보이게 하고 종묘로 향하는 생태적 접근성을 높임으로써 서울의 숨결을 바꾸고 도심을 재탄생 시키는 사업"이라며 "역사의 가치를 높임과 동시에 미래의 문을 활짝 여는 세운지역의 변화는 강북 전성시대를 알리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