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에 따르면 지난 2018년부터 올해로 8회째를 맞은 ‘전주 콘텐츠 페어’는 지역에서 개발된 기술융합형 디지털콘텐츠를 한자리에서 선보이는 진흥원의 대표 행사다.
올해 행사는 인공지능(AI)이 현실 세계와 연결하는 ‘피지컬 AI’가 급부상하고, 가상환경 기반 시뮬레이션 기술의 활용도가 높아지는 시대의 흐름을 반영했다.
이를 위해 진흥원은 가상과 현실의 융합을 통한 물리적 체험성 확장과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콘텐츠를 소개한다.
협약에 따라 5개 기업은 지역 가상융합산업 확장과 일자리창출 등 민·관 공동 성장을 목표로 각각 20억원씩 가상융합기술 개발에 투자하고, 시와 진흥원은 중앙부처 및 유관기관과 연계한 기업지원 프로그램 마련과 전문인력 매칭 등 기업 성장을 위한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이어진 토론회에서는 조민호 (사)전북콘텐츠산업협회 회장을 좌장으로 지역 XR기업이 체감하는 산업 변화와 지원 방향을 논의하는 토론회가 열렸다.이 자리에는 송현우 ㈜펀웨이브 대표이사와 이호근 ㈜에스지오코리아 대표이사, 김정욱 ㈜레인보우핀토스미디어 대표이사, 최주용 ㈜뉴토 대표이사, 안소영 (재)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미래산업본부장이 패널로 참여해 기술 변화 대응 전략과 정책 제안을 공유했다.
이와 관련, 올해 콘텐츠 페어에서는 28일까지 이틀간 전북메타버스지원센터 제작지원 콘텐츠 7종을 소개하는 전시관도 운영된다.
전시 콘텐츠는 △㈜펀잇의 실시간 AI 비전 행동분석 XR CQB 전투훈련 시뮬레이터 △㈜펀웨이브의 AI연동 XR간호실습 융복합 솔루션 △㈜셈스게임즈의 반려식물과 소통하는 감성 인터페이스기반 XR 가드닝 힐링 콘텐츠 △㈜라온네스트의 백제 무왕 일대기 VR 체험 콘텐츠 △㈜글로펙스의 반려동물 교육훈련 VR콘텐츠 △스타라이크㈜의 버추얼 인플루언서 캐릭터 콘서트 △올모스트올웨이즈의 ‘케이타운걸즈’ 글로벌 K-드라마 제작 및 AI 기반 드라마/영화 콘텐츠 등이다.
허전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장은 “전북과 전주의 가상융합거점 시설인 ‘전북메타버스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 전북의 가상융합산업 혁신센터 구축 및 거점기관 지정 등을 통해 지역 AI·가상융합 생태계 기반이 강화될 수 있도록 민·관이 함께 적극 협력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와 진흥원은 지난 2019년 전주역 인근에 지역 가상융합산업 육성을 위한 ‘전북 메타버스 지원센터’를 개소하고, 가상융합콘텐츠 제작을 위한 시설 및 장비 지원, 콘텐츠 개발 지원, 전문인력 교육, 마케팅 지원 등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AI 전문가 초빙해 직원 역량 강화
전주시는 27일 직원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11월 청원 공감한마당’에서 인공지능 대전환의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공무원이 알아야 할 기술과 사례 등에 대한 AI 특강을 실시했다.이날 특강에는 AI 전문가인 정길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홍보실장이 강사로 초빙돼 ‘AI 기반 미래 행정의 방향성’을 주제로 △정부 AI 정책 방향 △국내외 인공지능 기술 동향 △ETRI와 지자체들의 다양한 AI 기술 활용 협력 사례 등을 행정 분야를 중심으로 소개했다.
행사에 참석한 직원들은 AI 기술의 변화 흐름과 다양한 적용 사례를 직접 들으며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얻었다.
이에 앞서 시는 △전주시 AI 추진위원회 공식 출범 △전주 AX 미래전략 포럼 개최하고 △국가 AI 관련 공모사업 적극 대응 등 AI 기반의 혁신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해오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