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0억불 규모 발주처, 발전, 송배전 프로젝트 상담
동남아, 중동, 아프리카, 중남미 등 전 세계 32개국의 대형 전력사업 관련 발추처와 바이어 230개사가 서울에서 모여 920억 달러에 달하는 초대형 전력프로젝트를 협상한다.
14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와 한국전력기술인협회는 이날부터 16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국제 전력·IT·전기 설비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회에는 사우디, 인도네시아 전력공사나 인도 에싸그룹 등 모두 920억 달러 규모의 전력프로젝트를 계획 중인 발주처들과 일본 관서전력, 도시바 등 20억 달러 규모의 기자재 조달을 계획 중인 바이어들이 32개국에서 230개사나 참여한다.
루마니아에서는 경제재정부 차관을 단장으로 원자력·화력·수력전력공사 사장 등 11명의 민·관사절단이 참여해 올해 중 발주 예정인 체르나보다 원자력발전소 3.4호기 건설 발주상담에 나선다. 루마니아는 향후 열병합발전소 건설, 천연가스·원유개발 등 대형 프로젝트도 추진중이라 우리나라 에너지기업들의 진출 유망지역이 될 것이라고 지경부는 내다봤다.
인도는 2012년까지 전력설비를 현재 13만2000MW에서 21만2000MW로 대폭 확대할 계획이며 최대 민간전력회사인 타타파워에서 35억달러 규모 프로젝트 발주와 기자재 구매상담을 위해 참여한다. 에싸그룹도 2011년까지 발전소, 정유시설, 제철소 등에 25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으로 우리나라에서 관련설비와 부품의 조달을 희망하고 있다고 지경부는 설명했다.
사우디는 2015년까지 발전시설 건설에 124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으로 국영 전력회사 부사장이 발전과 송배전 프로젝트 상담을 위해 참여하며, 인도네시아 전력공사는 2009년까지 80억달러 규모의 화력발전소를 38개 건설할 계획이어서 우리 기업의 진출전망이 밝다고 지경부는 말했다.
일본에서는 관서전력, 동경전력, 히타치 조선, 가와사키 플랜트, 도시바 등 40여개 업체 조달 책임자가 참여해 밸브류와 LED(발광다이오드) 등 기계 부품류를 대거 구매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0년까지 발전소를 60여곳 건설할 예정인 베트남은 전력공사와 석유공사, 광업공사 부사장이 전시회에 참가해 국내 플랜트와 기자재 업계와 상담을 희망한다고 지경부는 전했다.
코스타리카 전력공사도 13억달러 규모의 622MW급 수력발전소 건설프로젝트를 상담하기 위해 참여한다.
국내에서는 한국전력과 6개 발전자회사, 두산중공업, 현대중공업, 일진전기 등 전력회사와 중전기기업체가 참여해 전력플랜트 수주와 기자재 수출을 위한 세일즈에 나선다.
지경부 관계자는 "세계 전력시장에는 중동, 아시아 등 개도국의 개발붐에 힘입어 2030년까지 10조달러의 신규투자가 예상된다“며 ”반면 국내 전력수요는 2010년 이후 1%대의 성장세를 보여 내수시장이 조만간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인 만큼 전력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용준 기자 sasori@ajnews.co.kr
< '아주뉴스'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