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우병문제로 시작돼 최근 정권퇴진 요구로까지 변화된 촛불집회로 인해 국내 양대 포털사이트인 네이버는 '울고' 다음은 '웃었다'.
더욱이 촛불집회 지지자들 사이에 ‘네이버=친정부’ 또는 ‘다음=촛불지지’ 등의 정서가 흐르면서 네이버 검색 탈퇴, 네이버 퇴진 운동 등으로 까지 번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네이버는 대책마련에 부심해 있다.
16일 인터넷 시장조사업체 코리안클릭이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최대 포털 네이버는 지난달 월간 통합검색점유율이 전달에 비해 0.71%포인트 하락한 73.46%를 기록했다.
이는 최근 1년간 가장 낮은 수치로 이 기간 네이버의 통합검색점유율이 73%대로 떨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반면 다음은 전달에 비해 0.71%포인트 높은 18.27%로 최근 1년간 최고치인 18%대에 진입했다.
지난 1년간 네이버의 점유율은 줄곧 74~75%대를 유지했으며, 다음은 16~17%대에 머물러왔다.
특히 통합검색점유율은 포털의 최대 수익원인 검색광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 같은 추세가 지속될 경우 네이버의 매출에까지 직접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목된다.
이에 대해 국내 온라인 업계는 지난달부터 시작된 촛불집회 정국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했다.
다음이 토론광장인 아고라 서비스로 누리꾼의 지지와 주목을 받아온 반면, 네이버는 줄곧 소극적으로 대응하다 친정부 논란에 휘말리면서 회원탈퇴가 줄을 잇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네이버는 뉴스 댓글란과 게시판 등에서 해당 단어를 포함한 경우 글 작성이 되지 않도록 사용자제작콘텐츠(UCC) 사이트 ‘아프리카’를 금칙어로 설정해 놔 네티즌들의 반발을 야기시켰다.
이에 지난달부터 일부 네티즌들을 중심으로 네이버 탈퇴와 시작페이지 바꾸기 운동이 확산되고 있어 네이버의 방문자 수가 급감했고 뉴스 섹션 역시 다음에 비해 큰 차이로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포털 뉴스면 트래픽 조사업체인 랭키닷컴의 자료에도 지난 5월 넷째주. 다음의 뉴스페이비뷰 수는 9억5536만건으로 네이버 8억8505만건보다 약 7000만건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아고라’와 미디어다음을 중심으로 트래픽이 크게 증가하면서 다음 뉴스는 6월 첫째주 페이지지뷰수가 11억건을 돌파했다.
네이버는 논란이 심화되고 이용자 이탈이 현실화되자 뒤늦게 메인 페이지에 별도의 섹션을 만들어 해명 글을 올리는 등 비상체제에 돌입했지만 뾰족한 대안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측은 “촛불집회 기간에 네이버 뉴스 편집 방향은 기존과 변함이 없었다”라며 “앞으로도 서비스 질 향상에만 신경쓰겠다”고 말했다.
다음측도 “미디어다음은 편집 기준을 8가지 정도로 만들어 공지사항을 통해 이용자에게 공개하고 있다”며 “촛불집회기간에도 이러한 기준은 그대로 지켰기 때문에 네티즌들의 호응이 높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 전문가는 “최근 추세는 포털이 미디어로서 공정성과 책임을 가져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음을 반영한다”며 “현 상황이 얼마나 지속되고 매출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지 유심히 지켜봐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