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전달까지 제주도의 생활물가 상승률이 전국 16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물가 상승률은 광주가 최고를 기록했으며, 공공서비스 요금 상승률은 경기도가 최고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지방의 주요 물가지표 상승률이 서울보다 높아 국제 유가와 곡물가 급등에 따른 부담을 지방에서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분석됐다.
22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 1~5월 전국의 생활물가는 전년동기대비 5.1% 상승했으며, 광역단체별로는 제주도가 6.2%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제주도 다음으로 생활물가 상승률은 강원(6.1%), 충북(5.9%), 경북(5.8%), 경남.전남.울산(이상 5.6%) 등의 순으로 조사됐으며 서울은 4.5%로 전국 평균치를 밑돌았다.
교육비 부담을 나타내는 교육물가는 이 기간 전국 평균 5.6% 상승했으며, 광역단체별로 광주 7.2%, 충북 6.4%, 인천.경남 6.1%, 경기.충남 6.0% 등의 순으로 높았다.
공공서비스 요금 상승률은 경기도가 3.8%로 가장 높았으며, 뒤이어 강원 3.7%, 인천 3.4%, 서울.경북 3.2%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부터 지난 5월까지 전국의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0%였고 광역단체별로는 울산.강원 4.7%, 제주도 4.6%, 충북.경북 4.5%, 경남 4.4% 등의 순이었으며 서울은 3.7%였다.
통계청 관계자는 "최근 물가 상승은 국제유가와 곡물가격 오름세에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제주도, 울산, 강원 등의 지방은 물가 지수 산출과정에서 유가와 곡물의 가중치가 높아 물가상승률도 높은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는 "이를 테면 휘발유 가격이 올랐을 때 서울은 자가용 대신 대중 교통수단을 이용하면 되지만 상대적으로 대중교통이 좋지 않은 지방은 휘발유를 사용하는 자가용을 계속 몰고 다녀야 하기 때문에 석유제품의 가격 상승이 각 지역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고 덧붙였다.
실제 석유류 가중치는 서울이 40.1인데 비해 울산(61.7), 강원(69.2), 제주(76.0) 등은 가중치가 높았다. 곡물 가중치도 서울은 14.6으로 강원(19.8), 충북(17.6), 울산(16.4)과 차이가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