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가 연 8%를 돌파했고 은행권에서도 최고 연 7%의 금리를 제공하는 정기예금을 내보이며 자금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14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서울지역에서 영업하는 삼성저축은행이 1년짜리 정기예금 금리를 7.2%에서 7.7%로 인상했다.
매달 이자를 받아가는 단리 기준연환산 금리는 7.7%이지만 1년 뒤 한꺼번에 이자를 받을 경우 연 7.97%(복리)에 달한다.
삼성저축은행의 정기예금 상품을 인터넷뱅킹으로 가입할 경우 우대금리 0.1%가 추가되며, 이를 복리로 환산하면 금리가 8.08%에 달한다.
서울과 경인지역에서 영업하는 신라저축은행은 1년 만기 정기예금의 금리를 연 7.3%에서 7.7%(복리 7.97%)로 올렸다.
업계 1위인 솔로몬저축은행도 지난 9일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를 연 7.4%에서 7.6%로 0.2%포인트 인상했다.
만기때 이자를 한꺼번에 지급받는 복리식 정기예금 상품에 1000만원을 1년 동안 맡겼을 경우 세전 78만7040원(수익률 7.87%)의 이자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최근 저축은행들이 내놓은 예금상품은 연 7%대가 대부분이며, 복리로 계산할 경우 8%에 육박한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은행들이 계속 수신 금리를 올리며 추격하고 있어 금리가 강점인 저축은행으로서는 은행권과 적절한 격차를 유지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할 수 밖에 없다”며 “지금처럼 자금시장이 경색된 상황에서는 자금을 미리 유치해 놓아야 단기적인 유동성 관리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은행들도 고금리 예금상품을 출시하며 시중자금을 끌어모으고 있다.
대구은행은 통장 또는 신용카드 거래 실적이 많은 고객에게 추가 우대 금리를 제공하는 통장 실적연동 정기예금과 신용카드 실적연동 정기예금 금리를 연 0.2~0.6%포인트 인상했다.
통장 실적연동 정기예금은 최고 연 7.0%, 신용카드 실적연동 정기예금은 최고 연 6.8%의 이자를 받을 수 있다.
국민은행이 KB금융지주 출범을 기념해 출시한 온라인 전용 예금인 'e-파워정기예금'의 경우 오는 11월까지 가입하면 금리를 최고 0.6%포인트 추가로 지급해 1년 만기 최고 연 6.9%의 이자를 받을 수 있다.
지난 5월까지만 해도 연 5%대 중반이었던 은행 예금 금리가 7%에 육박한 셈이다.
은행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시장에서 대형 악재가 다시 터질지도 모르는 상황이기 때문에 은행별로 여유자금을 가능한 한 많이 확보하려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변해정 기자 hjpyun@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