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시장에서 저축은행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대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금융당국의 미진한 대응이 금융시장 불안을 증폭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저축은행 PF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11.4%에서 올해 6월말 14.3%, 9월말에는 17.0%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연체율이 급상승한 데에는 건설경기 급락의 여파로 아파트 미분양이 늘어난데다 신용경색에 따른 PF 사업장의 자금 회전이 막혔기 때문이다.
저축은행 전체 대출 65조원 중 PF 대출액은 12조2000억원으로 약 19%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 9월 금융감독원이 저축은행 PF 사업장 899곳에 대한 전수조사를 벌인 결과, 12%인 1조5000억원이 부실 위험에 노출된 '악화우려 사업장'으로 분류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성 등에 문제가 없는 '정상' 사업장은 55%이었으며, 사업성은 있지만 일부 애로가 있는 '주의' 사업장은 33%에 달했다.
하지만 전수조사가 이루어진 9~10월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의 심화로 건설경기가 추가 악화된 점을 감안한다면 그 부실규모는 더 늘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금융시장에서 저축은행 PF 대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지만 금융당국의 대응은 오히려 후퇴하는 조짐이 보여 우려를 키우고 있다.
저축은행 PF 사업장에 대한 전수조사가 끝난 지 한달여가 지났지만 이에 대한 조사결과를 공개하지 않고 있는 상태다. 당국이 저축은행 PF 사업장 부실처리 대책을 두고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은 이번주 저축은행의 PF 대출 부실관련 대책을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 업계의 자율적인 인수합병 등을 통해 지속적인 구조조정을 유도하는 한편 악화우려 사업장에 대출을 한 저축은행들에 대해 추가적인 대손충당금을 쌓도록 하는 조치 등을 취하겠다는 입장이다.
또한, 당국이 월 단위로 연체율을 비롯한 저축은행 건전성 지표를 관리하고 있음에도 6개월 단위로 공개해왔다는 관행을 이유로 '9월말 저축은행 건전성 지표' 발표를 꺼리고 있다.
이에 대해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발표한 저축은행 통계는 6월말이 마지막으로, 이후 통계가 내년 2월에 공개될 때까지 시장 참여자들은 막연한 불안감만 갖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정부의 발표가 늦어지면서 저축은행에 대한 불신감만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시장의 불확실성 해소를 위해서라도 당국은 발빠르게 대응해야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변해정 기자 hjpyun@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