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조윤성의 내비게이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08-12-22 10:4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칼럼>자동차 산업 위기에 “부품업체”와 “할부금융사” 챙겨야

“이번 주까지 내년도 사업계획을 마무리해야 하는데 올해 보다 얼마나 깎이게 될 는지 알 수 없습니다” “협력업체까지 챙길 여유도 없고 총체적으로 문제네요”

자동차업계 모 임원의 푸념이다.

세계 금융위기에 실물경기 침체까지 겹치면서 국내 자동차산업도 위기에 봉착했다.

판매가 부진해 완성차업계는 물론, 부품업계까지 줄도산 위기에 몰리는 지경이다. 말 그대로 총체적 난국인 상황이다. 특근을 줄여 생산량을 감소시키고 인원을 감축하는 등의 방법을 동원하고 있지만 임시방편일 뿐 그다지 효과는 없는 듯 하다. 국산차와 거래하는 3300여개 1·2·3차 부품협력업체들이 매출 감소 및 줄도산 위기에 처했다. 이미 GM대우의 2차 협력업체인 대영금속이 자금 압박을 견디지 못해 도산했고 동양기전 유성기업 등은 매출목표를 낮춰 잡고 비상경영에 들어갔다.

이에 채산성과 수익성이 악화된 대기업들이 부품업체들에게 고통분담 차원에서 납품단가 인하를 요구하게 되면 자칫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우는 식'으로 중소기업인 국내 부품산업은 더욱 위험에 봉착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경기가 좋아지더라도 국내 자동차산업은 사실상 ‘앙꼬없는 진빵’이 될 가능성도 있다. 아무리 어렵더라도 자신들의 어려움을 더 어려운 사람들에게 전가하면 나중에 정말 급할 때 재빨리 달려와 문제를 도울 ‘친구’가 사라지게 된다. 완성차업계는 부품업체를 단순히 협력사 차원을 넘어 동업자 의식으로 ‘공존동생’하는 전략이 필요할 때다. 완성차업체가 과거의 떠넘기기식의 행태를 보인다면 이제 더 이상 돌이킬 수 없는 사태에 이를지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 이날 정부에 완성차업계는 부품업계의 유동성 지원과 R&D시설 투자자금 등의 명목으로 연간 2000억원 이상의 자금을 지원해 줄 것을 요청했다.

미국 정부가 미국 내 자동차산업을 지키기 위해 나선 것처럼 국내 자동차산업을 위해 정부가 조속히 나서줄 것을 요구한 대목이다. 그러나 정부에게 요청하기 이전에 대기업들이 먼저 부품업체 지원에 나서야 한다.

부품업체를 자식처럼 여겨 납품단가를 깎으려 하지 말고, 정부에 지원을 기다리기 보다 유동성 위기에 빠진 내 식구를 먼저 챙겨야 할 것이다. 완성차업계가 부품업체를 챙긴다면 정부는 차량 판매활성화를 위해 할부금융사 지원에 속히 나서야 할 때다.

자동차 판매 부진의 원인 중 가장 큰 하나가 할부금융사들의 위기이기 때문이다. 회사채를 발행하거나 높은 금리로 다른 금융기관에서 자금을 차입해 운용하는 할부금융사들이 은행들의 대출기피 현상으로 자금줄이 막히면서 연달아 할부금융이나 리스, 렌탈 등의 서비스를 중지하고 있다.

연체율이 높아지면서 신용등급이 낮은 고객들에게는 대출금액을 떼일까봐 높은 금리를 적용한다 하더라도 할부금융은 제공하지 않고 있다.

정부가 금융기관들을 돕는 것도 우선이겠지만 우리나라의 핵심수출 종목인 자동차산업의 판매 활성화를 위해서 속히 할부 금융사들의 지원에 나서야 할 때다. 그렇지 않으면 자동차산업의 불황은 장기침체로 이어져 아무리 완성차업계가 발버둥치고 판매활성화에 나서더라도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낳을지 모른다.

조윤성 기자 cool@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