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주부터 시공능력 100위 미만의 중소형 건설사에 대한 2차 신용위험 평가가 진행된다.
이들 중소형 건설사의 경우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피해가 상대적으로 큰 데다 은행권의 기업 구조조정 수위에 대한 정부의 압박 강도가 높아지고 있어 지난 1차 평가 때와는 달리 퇴출 기업이 속출할 가능성이 높다.
금융감독원은 다음달 5일까지 금융권의 신용공여액 50억원 이상인 시공능력 101~300위의 건설사 94개와 중소형 조선사 4개에 대한 평가기준을 확정할 계획이라고 27일 밝혔다.
평가기준 작성은 건설 및 조선업 신용위험평가 태스크포스(TF)가 담당하게 되며 은행들은 이 기준에 따라 신용위험 평가를 실시해 2월 중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다만 평가 대상에 포함된 중소형 조선사 4개는 지난해 설립된 신생사로 지난해 재무제표가 발표되는 3월 중순 이후 평가가 이뤄진다.
이번 평가에서 C등급을 받으면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에 돌입하게 되며 D등급은 퇴출된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1차 평가 때와는 달리 2차 평가가 끝나면 퇴출 기업이 속출할 수 있다"며 "정부가 연일 구조조정 강도를 높이라고 주문하고 있는데다 평가 대상 대부분이 자금난을 겪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편 은행들은 1차 평가에서 C등급 및 D등급을 받은 건설·조선사 16개에 대한 워크아웃 개시와 법정관리 신청 결정을 이달 30일까지 마무리하기로 했다.
또 B등급(일시적 유동성 부족)을 받은 43개 건설사와 10개 조선사가 신규 자금 지원을 요청할 경우 외부 전문기관의 실사를 거쳐 신용위험을 재평가할 계획이다.
1차 평가에 4분기 재무제표가 반영되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실사 진행 과정에서 C등급이나 D등급으로 추락하는 기업이 추가로 나올 수 있다.
이와 함께 금감원은 다음달 10일까지 44개 대기업에 대한 자금 사정을 보고받기로 했다. 유동성 상황이 어려운 대기업은 주채권은행과 약정을 맺고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자구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 건설·조선업종 이외에 다른 업종에 대한 모니터링도 강화할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해운업과 자동차, 반도체 등의 업황이 악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며 "올 상반기 경기침체의 골이 더욱 깊어질 것으로 예상돼 건설·조선업 이외의 업종에서도 구조조정 기업이 나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재호 기자 gggtttppp@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