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통해양부 항공안전본부는 고유가에도 불구하고 작년 항공기 교통량이 45만9936대로 전년도 총 교통량(45만2177대) 대비 1.7% 증가했다고 18일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해는 하루 평균 1257대, 1분 10초당 1대의 항공기가 항공교통관제사의 관제를 받아 운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일 월드컵이 열린 2002년 35만대에 비해 약 1.3배가 증가한 것으로, 인천국제공항의 허브화 전략에 맞춰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교통량이 가장 많은 시간대는 오전 10시대로 전체 항공교통량 중 약 9%를 차지했다. 항공로 중에서는 우리나라 전체 25개 항공로 중 1평균 약 520대(41%)의 항공기가 운항한 서울~제주~동남아를 연결하는 B576 항공로가 가장 복잡한 것으로 파악됐다.
항공교통량은 항공교통관제사가 관제한 항공기 운항횟수로 공항 이·착륙 통계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국토부는 "6월 이후(8월 하계휴가 기간 제외) 국제유가 및 환율상승, 동남아 정세 불안 등의 요인으로 항공교통량 증가 추세가 다소 주춤하기도 했으나 국내선 저가 항공사의 추가 등장 과 노선확장으로 교통향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영배 기자 young@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