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도쿄 리포트) "거주 외국인은 손님도, 약자도 아닌 파트너"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09-05-05 16:0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외국인 정책은 외국인을 위한 정책이 아니라 지역 주민을 위한 정책입니다. 지역 주민에 대한 정책을 펴야 외국인들이 함께 잘 살 수 있습니다."

도쿄 신주쿠에서 20년 넘게 유통업을 해온 김근희 한국광장 사장은 도쿄 거주 외국인 정책의 출발점, 그 근본적인 시각부터 달라져야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김근희 사장은 "외국인을 지원하는 민간단체가 200여개가 있어도 현장은 여전히 어렵다"고 지적하고 그 원인은 '호스트(Host) 주민'에 있다고 밝혔다.

호스트 주민들이 먼저 마음을 열어주기 전에는 수만 가지 외국인 지원 정책도 소용이 없다는 것이다.

김근희 사장은 도쿄도청이 외국인 도민을 위한 본격적인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한 지난 2006년부터 지역 국제화 추진 위원회(이하 위원회)에 참여, 적극적인 활동을 보이고 있는 인물 가운데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다.

김 사장은 위원회 활동을 통해 '당사자 시점'의 정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수차례 에 걸쳐 강조해 왔다고 전했다. 위에서부터 현장을 내려다보는 안목은 갖춰져 있지만 실제 현장을 살아가는 당사자 시점은 부족하기 때문에 구호만 있지 내실이 충분치 못하다는 것이다.

그는 현지인들이 거주 외국인을 이웃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준비가 되어있는지를 살펴보고 받아들이도록 이끄는데 외국인 정책의 의미가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 사장은 "(거주 외국인이) 손님이니까 잘해주고 약자니까 도와준다는 식의 정책은 한계가 있습니다, 파트너로서 인식하게 하기 위한 주민 교육이 필요합니다."

그는 지난해 주제인 '거주 외국인을 위한 효과적인 방재 대책'에 관해서도 "좋았다"고 평가했다.

위원회 활동에 대해서도 "주제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행정관청이 그들 입장에서 외국인을 손님이나 약자로서 케어(care)해줄 상대가 아닌 함께 일하는 파트너, 시민으로, 도쿄도민으로 받아들이려고 하는 의지를 갖는 것, 그것이 조금씩 발전해 가는 것에 일조했다는데 의의를 둔다"고 말했다.

2002년 위원회 설치이래 벌써 3번째나 논의되는 방재 주제에 대해서는 2008 베이징 올림픽 직전에 발생한 쓰촨(四川)대지진의 영향이 적지 않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시하라 신타로(石原 慎太郎)도지사가 외국인에 차갑다는 이미지가 있어 이를 만회하기 위한 노력이라는 시각도 없지 않다고 귀띔했다.

김근희 사장은 도쿄도청의 노력이 부단히 이어지고는 있지만 앞으로 갈 길이 멀다는 점도 잊지 않고 지적했다.

그는 일본 역시 단일민족에 대한 교육이 행해진 만큼 지역 사회의 구성원, 지역 주민들은 외국인을 받아들이기가 불편하고 힘들다고 설명했다.

도쿄도가 표방하는 다문화 공생사회의 다문화는 '1대1이 만나 다(多)가 된다는 점'을 부정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오성민 기자 nickioh@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