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3일 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1874호 결의에 반발, 우라늄 농축, 추출한 플루토늄 무기화, 봉쇄시 군사적 대응 등을 선언한 데 대해 진의 파악과 함께 대응책 마련에 주력하고 있다.
정부는 북한이 이미 유엔 안보리가 제재 결의안을 채택할 경우 강경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던 만큼 예상했던 일이라며 즉각적인 반응은 자제하면서도,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한반도 안보에 미칠 파장을 점검하는 등 발빠른 움직임을 보였다.
정부 핵심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우라늄 농축 등은 유엔 안보리 결의안이 통과될 경우 이미 예고했었던 것"이라며 "(유엔 안보리 결의안을 통해) 봉쇄한다는 데 북한 특성상 가만히 있을 수는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북한이 워낙 강하게 나오고 있어 정치적 수사라고만 말하기는 좀 그렇다"며 "상황을 좀 지켜보면서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외무부 관계자도 "좀 더 상황을 지켜봐야 겠다"며 언급을 삼갔다.
북한 외무성 성명에 담긴 내용을 분석하는데 주력하면서 신중한 대응을 하겠다는 것이다. 자칫 성급하게 대응할 경우 한반도 긴장만 고조시킬 수 있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통일부는 북한 외무성 발표가 나온 즉시 현인택 장관을 비롯한 주요 간부들이 모여 긴급 회의를 열고 남북관계에 미칠 영향을 검토하는 등 촉각을 곤두세웠다.
특히 통일부는 개성공단에 우리 근로자가 있는 만큼 이들의 신변안전에 각별히 신경을 쓰는 한편, 오는 19일로 예정된 개성공단 실무회담에 끼칠 영향에 대해서도 점검한 것으로 전해졌다.
통일부 관계자는 "북한의 성명 발표가 남북관계에 미칠 영향을 점검하면서 필요한 조치가 있는지 상황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개성공단 회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터넷뉴스팀 기자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