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지난 1분기 경제성장율이 -4.2%를 기록했지만 정부의 경기부양책 조기집행 등에 힘입어 2분기에는 높은 성장율이 예상된데 이어 하반기에는 유가상승과 경기부양 규모의 감소 등이 예상되고 있어 올해 연간 경제성장율은 -2%를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산업연구원은 24일‘2009년 경제∙산업 전망’ 보고서를 통해 올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율은 경기침체 완화, 전년도 성장패턴인 상고하저(上高下低)의 기저효과 및 하반기 GDP 감소폭의 축소 등으로 연간 -2%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원∙달러 환율은 금융불안 및 경기침체 완화, 글로벌 달러 약세, 경상수지 흑자 등에 따라 하반기에도 하락추이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강두용 산업연구원 동향분석실장은 “올 하반기 원∙달러 환율은 약 1220∼1230원 수준을 기록할 것”이라며 “이에 올해 연평균 환율은 1280원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유가의 경우 실물경기 침체 하에서 추가상승 가능성이 제한적이란 점을 감안, 하반기에는 배럴당 60달러 중반 수준(두바이유 기준)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수출의 경우 세계 경기침체 영향으로 작년보다 약 12.7%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수입은 무려 18.5% 감소할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올해 우리나라의 전체 무역수지 흑자폭은 245억 달러에 달해 ‘불황형 흑자’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10대 주력 산업별 수출전망에 따르면 IT제조업의 경우 디스플레이 등의 수출호조로 전년동기대비 3% 감소할 전망이다.
특히 디스플레이는 중국의 경기부양책으로 기대이상의 패널수요 증가가 예상돼 올 하반기 수출이 무려 11.4% 성장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에 반해 비 IT주력산업은 상반기보다 수출둔화가 완화되긴 하겠지만 11.0%의 높은 감소세가 예상된다.
조선도 확보된 건조물량의 인도 일정에 따른 수출증가로 전년동기 대비 5.4% 증가할 것이며, 철강은 각국의 재고조정, 중동, 중남미로의 수출호조에도 불구 28.6% 감소할 것으로 내다 봤다.
자동차 생산의 경우도 쌍용, GM대우의 생산중단, 국내외 수요 급감에 따라 상반기에 4.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섬유는 국내외 수요감소가 지속되면서 4.6% 감소할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