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쇄신위 최종안, 오늘 전달…총리 포함 중폭 이상 개각도 포함
한나라당 쇄신특위(위원장 원희룡)는 청와대와 정부 개편을 포함한 여권 쇄신안을 이르면 2일 청와대와 당 지도부에 공식 건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쇄신위 관계자는 1일 “국정쇄신안을 최종 확정했다”며 “가급적 2일 쇄신안을 당 최고위원회에 보고하고 청와대에도 전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쇄신위는 민생중심 국정운영 기조 전환과 이명박 대통령의 일방통행식 리더십을 국민통합형·쌍방향리더십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을 낼 계획이다. 아울러 ‘부자 중심 정책’ 비판을 불식시키기 위해 조세·교육정책 전환과 보완을 주장할 방침이다.
인적쇄신과 관련해선 총리를 포함해 중폭 이상의 개각을 구상하고 있다. 특히 ‘밀어붙이기식’ 정책의 상징적 인물로 꼽히는 장관들을 교체하는 한편 특정 지역과 학맥에서 벗어난 국민통합형 내각을 구성해야 한다는 쪽으로 입장을 정리했다.
당·정·청 관계 재정립 방안으로는 대통령-당 대표-원내대표 회동 정례화, 정치인 출신 정무장관 신설, 당-청 회의 교차 참석 등을 건의할 계획이다.
쇄신위는 당 지도부 교체와 조기전당 대회 개최 필요성도 제기하기로 했다. 다만 그 시기는 10월 전후로 잡고 있을 뿐 구체적인 날짜를 못 박지 않았다.
친이(친이명박)-친박(친박근혜)간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되는 상태에 논란과 갈등이 심화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앞서 쇄신위가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설문에 응답한 원내외 당협위원장 117명 가운데 55명은 ‘10월 이전’, 41명은 ‘10월 이후’를 각각 선호했다. 나머지 21명은 ‘조기전대가 필요없다’는 입장이다.
공천제도 개선과 관련해선 국회의원 및 기초단체장 후보자 심사 시 공천 배심원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을 낼 것으로 알려졌다. 즉 공심위원의 3분의 1을 국회의원-당협위원장 연석회의에서 선출하자는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쇄신위는 이와 함께 이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의 실질적 국정동반자 관계 회복, 당내 계파나 여야 구분 없는 국민통합형 인사 중용, 대통령에게 직언하는 정언관(正言官) 도입, 권력비리 수사 감찰위원회 신설 등을 제안할 것으로 알려졌다.
아주경제= 안광석 기자 novu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