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 국정감사가 시작된 첫날부터 국회는 여·야의 날선 대립으로 팽팽한 긴장감이 감돌았다.
최대 격전지는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였다. 논란의 중심에는 여전히 '미디어법'이 있었다.
민주당 전병헌의원은 질의에 앞서 신상발언을 통해 "지난달 19일 열린 당정회의에서 신문법 통과 이후 후속조치 등 미디어법과 4대강 살리기 등이 논의됐는데 이는 국감 업무현황 보고와 다른 내용"이라며 "당정회의를 통해 주요 정치적 쟁점 사안을 논의했다는 것은 정부와 한나라당이 미리 '대책회의'를 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최구식 의원은 "제가 주재한 회의인데 지난 10년을 반성해서 당과 정부가 주요 업무를 상의했을 뿐"이라며 "저는 앞으로도 이런 회의를 계속 열 계획이니 좋은 자료를 많이 가져오라"고 반박했다.
이 후 민주당 서갑원 의원의 신상발언 요구가 불허되면서 여·야간에 고성이 오갔다. 결국 고흥길 문방위 위원장은 감사가 시작된지 1시간여 만에 정회를 선언했다.
시작전부터 첨예한 대립을 보였던 국회정무위원회의 총리실 국감도 '세종시'를 두고 공방이 오갔다.
민주당 홍영표 의원은 "정 총리가 세종시와 관련된 이중적이고 모순된 발언으로 사회적 갈등과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며 "정부는 여야 합의와 대국민 약속대로 중앙행정기관의 이전 변경고시를 하루빨리 지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한나라당 고승덕 의원은 "행정복합도시는 수정이 불가피하다"면서 "기업복합도시등 산업적인 접근이 필요한 것 아니냐"고 반박했다.
각 당의 대표들도 후방에서 적극적인 지원사격을 펼쳤다.
한나라당 정몽준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집권당인 우리가 앞장서서 국정감사란 이런 것이다 하는 국감의 진수를 보여줘야 하겠다"며 "우리 정치권이 국민 복지를 증진하고 국민들에게 희망을 주는 국감을 보여주실 것을 부탁드린다"고 의원들을 독려했다.
민주당 이강래 원내대표는 직접 세종로 정부청사의 총리실 국감장을 방문해 동료 의원들을 응원했다.
이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 회의에서 "국무총리실 국감을 통해 정부의 정확한 입장이 밝혀지길 진심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팽재용 기자 paengme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