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식품 가운데 명태, 파, 귤, 생강 가격이 4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9월 신선식품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5.7%를 기록한 가운데 어류.조개 11.3%, 채소 4.1%, 과일 3.3%를 기록했다.
어류.조개 분야에서 명탯값은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무려 41.9%가 급등했으며 굴(29.7%), 갈치(17.6%), 가자미(15.9%), 오징어(15.4%) 등도 10% 이상 올랐다.
채소는 파 값이 전년 동월보다 45.7% 뛰었으며 배추(15.2%), 당근(14.7%), 부추(13.8%)의 물가 인상률도 높았다.
과일은 귤(56.9%), 오렌지(24.9%), 바나나(24.6%), 키위(15.3%), 감(15.0%)의 인상률이 두드러졌으며 기타 신선식품 중에서는 생강 값이 작년 동월 대비 90.3%나 폭등했다.
반면 고등어, 브로콜리, 수박 등은 공급량 증가로 가격이 크게 떨어졌다.
고등어 값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9% 떨어졌으며 브로콜리(-20.8%), 양파(-14.9%), 호박(-12.3%), 수박(-27.1%), 복숭아(-12.4%)도 큰 폭으로 가격이 하락했다.
재정부 관계자는 "일부 수급 차질에 따라 신선식품의 물가가 오르기는 했지만 전반적인 소비자 물가가 안정세를 보여 올해 물가 상승률을 3% 정도에 맞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