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Zoom IN) 아이폰, 보안 대책 마련 시급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09-10-18 17:3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해킹툴 인터넷에 널리 퍼져...백신 의무 탑재 도입 논의

아이폰 국내 출시를 앞두고 스마트폰 해킹에 대비한 보안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스마트폰이 해킹 당하면 PC해킹보다 더 큰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해커들이 악의적인 목적으로 민감한 개인정보 및 번호리스트 등을 유출하면 그 파급효과는 엄청날 것이라는 얘기다.

이미 해외 및 국내 인터넷에는 ‘제일브레이크(Jailbreake)’라는 아이폰 해킹 툴이 널리 퍼져있다. 이 해킹툴은 간단한 조작만으로 아이폰의 보안장치를 해제해 이용자가 마음대로 애플의 앱스토어 이 외의 무료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수 있다.

이 해킹툴은 특정 통신 사업자에 얽매이기 싫은 이용자들이나 애플이 인증하지 않은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려는 이용자들 사이에 널리 퍼져있다.

이에 애플사는 새로운 펌웨어 및 긴급 보안패치를 배포해 기존에 공개 및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해킹 시도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주요 해킹 그룹은 애플사가 새 펌웨어나 보안패치를 내놓을 때마다 이를 넘어서는  새로운 해킹 방법을 공개하면서 애플과 대응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아이폰 관련 카페 등에서도 이미 아이폰 해킹 방법을 친절히 설명해주는 카테고리가 따로 있을 정도다.

문제는 무료 어플리케이션 이용을 위한 아이폰 해킹이 기기 고유의 보안 장치 80%를 해제, 보안이 취약해져 악의적인 공격을 받을 시에도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지난 7월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해킹 컨퍼런스인 ‘블랙 햇 보안 컨퍼런스’에서 보안 전문가들은 단문문자메시지(SMS)를 이용한 아이폰의 해킹 사례를 선보이고 해킹 코드를 공개했다.

찰리 밀러와 콜린 뮬리너라는 독일의 보안 전문가들은 이동통신사, 은행 등 사용자들이 신뢰하는 업체를 가장해 악성코드를 심은 문자메시지를 보내 아이폰 해킹에 성공했다.

아이폰 해킹으로 민감한 개인정보들을 유출할 수 있다는 우려가 현실로 나타난 것이다.

이에 따라 아이폰 도입을 눈앞에 두고 있는 국내도 더 이상 모바일 해킹에서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업계 관계자는 “아이폰 도입으로 스마트폰 시장이 본격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며 “스마트폰이 개인정보, 이메일, 회사 업무 등을 관리하는 손 안의 PC 역할을 하게 되면서 기존 온라인상의 해커들이 모바일로 눈을 돌릴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한국인터넷진흥원 관계자는 “스마트폰에서 해킹에 대응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향후 이용자들에게 배포할 계획”이라며 “모바일 백신 의무 탑재 등의 관련제도 도입은 논의할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김영리 기자 miracle@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