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베인 안드레센 금융안정위원회(FSB) 사무총장은 글로벌 금융시스템 안정을 위해 이르면 올해 말까지 최소 유동성 표준을 발표하겠다고 20일 밝혔다.
또한 글로벌 위기의 원인을 제공한 파생상품에 대한 원칙은 내년 말까지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스베인 사무총장은 이날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주최 세미나에서 "이번 금융 위기의 교훈은 은행들이 유동성 쇼크에 대비해 은행 자체적으로 유동성을 강화해야 한다"면서 "바젤위원회는 올해 말 또는 내년 초에 최소 유동성 표준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는 "그동안 자본을 위한 표준은 있었지만 유동성 표준은 없었다"면서 "유동성 표준은 국제적으로 활발한 활동을 하는 은행을 목표로 한 것이며 내년에 관련 영향평가도 함께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베인 사무총장은 유동성 문제와 더불어 자본, 회계, 리스크 관리, 파생상품, 도덕적 해이도 개혁 대상임을 분명히 하면서 내년까지 관련 규제 대책을 도입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파생상품 시장의 경우 최근 위기의 원인이 됐을 뿐 아니라 국제적인 리스크에 노출됐다"면서 "투명성을 높이는 작업을 진행 중이며 일관성 있는 규칙 적용이 중요해 이를 관리하는 중앙집권화된 기구가 있다면 신용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스베인 사무총장은 "바젤위원회는 자본의 양과 질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각 금융기관의 신용위험을 파악할 수 있는 금융시스템을 구축하고 감독기관을 통해 자본을 감독하며 신용을 높이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복잡한 회계 또한 위기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회계를 간소화함으로써 회계 정보를 투명화할 수 있다"면서 "보상 문제는 국제적으로 건전한 보상 기준 마련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며 리스크가 클수록 인센티브를 많이 받는 금융업계의 관행을 바꾸려고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스베인 사무총장은 "이같은 일련의 금융 개혁은 내년 서울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에서 강력한 지지를 받아야 가능하다"면서 "한국도 금융안정위의 개혁안을 받아들이는데 앞장서고 이같은 개혁이 이뤄지도록 국제 사회에서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