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신ㆍ재생에너지 사업에 총 7조원을 투자해 2020년까지 10조원의 매출을 올리기로 했다.
정부는 올해부터 2차전지와 LED 태양전지 등 10대 핵심 녹색기술 개발을 본격 추진한다.
또 주력 산업에서의 에너지 효율개선 작업을 실시하고 세제지원 등을 통해 건축물과 교통, 금융 등의 녹색화를 본격 추진키로 했다.
대통령 직속 녹색성장위원회(녹색위)는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관계부처 장관, 녹색성장위원, 지방자치단체장 등 2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7차 녹색성장 회의를 개최해 이 같은 방안을 확정했다.
포스코는 신ㆍ재생에너지 사업에 총 7조원을 투자해 2020년까지 철강생산으로 배출되는 온실가스 원단위를 9% 개선하기로 했다.
또 고효율 철강재 생산, 연료 전지 등 녹색성장 분야를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 중소기업 지원과 직원들의 녹색생활 운동을 전개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포스크는 2020년까지 연간 1400만t의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10조원의 녹색분야 매출과 8만7000여개의 녹색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했다.
정준양 회장은 “기후변화 해결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신속하고 자발적인 실천”이라며 “포스코는 저탄소 철강공정으로 전환하고, 녹색 비즈니스를 확대해 기후변화에 선도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녹색위는 올해가 녹색성장 정책이 본격적으로 실행돼 성과창출을 내는 해로 보고 2차전지 LED,태양전지 그린카 등 10대 핵심 녹색기술을 본격 육성하기로 했다.
정부는 또 2020년까지 배출전망치(BAU) 대비 30% 감축이라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온실가스 데이터(인벤토리) 작성과 배출권 거래제를 위한 법률도 차질없이 제정한다는 방침이다.
생활 부문의 에너지 절감을 위해 친환경 주택의 취득ㆍ등록세를 최대 15%까지 감면하고, 녹색 일자리 창출을 위해 일자리 지원센터 25개소를 구축하기로 했다.
아울러 2만2000가구에 집수리 사업을 지원하고 지방 공공청사의 에너지 사용량은 10% 절감할 방침이다.
한편 이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일부 지방자치단체의 ‘호화 청사’ 논란과 관련, “일부 지자체에서 에너지를 최고로 낭비하는 빌딩을 지었다고 하는데 시대에 맞는 인식이 부족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 “(녹색성장을 위해) 기업이 해야 할 일, 정부가 해야 할 일이 있지만 국민이 생활에서 해야 할 일도 있다”고 지적했다.
아주경제= 김종원 기자 jjong@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