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중, 6자회담 재개 전제조건 논의

북한의 김계관 외무성 부상의 중국 방문 둘째 날인 10일 북.중 양국이 6자회담 재개의 전제조건을 포함한 회담 조기 재개방안을 본격적으로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은 아울러 화폐개혁 이후 북한의 어려운 경제사정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면서 경제적 지원방안을 적극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마자오쉬(馬朝旭)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외교부 홈페이지를 통해 "김계관 북한 외무성 부상이 중국 정부의 한반도 사무 특별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의 초청으로 중국을 방문 중"이라면서 "양측은 북중 관계와 북핵 6자회담 및 공통 관심사항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가 9일 베이징에 도착한 김계관 부상의 방중 사실을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베이징 외교가에 따르면 북한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김 부상과 차석대표인 리 근 외무성 미국국장 일행은 9일 댜오위타이(釣魚臺)에서 우다웨이 특별대표를 비롯한 중국 측 6자회담 대표단과 만찬을 겸한 회담에 이어 10일에는 중국 외교부 청사로 자리를 옮겨 회담을 이어갔다.

김 부상 일행이 이날 오전 주중 북한대사관 관용차량을 타고 외교부 청사로 이동하는 장면이 취재진들에게 포착됐다.

이로 미뤄 김 부상을 필두로 한 북측 대표단은 9일에는 다이빙궈(戴秉國) 외교담당 국무위원 주최 만찬 참석에 이어, 10일에는 양제츠(楊潔지<兼대신虎들어간簾>) 외교부장 면담과 6자회담 중국 측 대표단을 포함해 외교부 내의 대북라인을 집중 접촉한 것으로 보인다.

북·중 양국은 10일 늦게까지 계속된 회담에서 그간 북한이 주장해온 대북제재 해제와 평화협정 체결이라는 6자회담 재개의 전제조건에 대해 본격적으로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측은 대북 제재해제 요구와 관련해 '제재의 모자를 쓰고 협상에 나설 수는 없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하고 중국이 대북제재 조치인 1874호 결의를 채택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상임이사국(P5) 지위에 있는 만큼 이 조치의 해제에 적극적으로 나서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보인다.

북측은 또 정전협정을 북-중-미 평화협정으로 바꾼 후 비핵화를 실현하자는 기존 입장을 중국 측에 전달하며 이에 대한 협조를 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측은 이에 북측이 내세우는 전제조건에 대해서는 일단 6자회담 장(場)에 들어와서 논의하자는 게 미국 측 입장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우선적인 회담 복귀를 설득한 것으로 관측된다.

중국 측은 아울러 평화협정 체결 주장은 한편으로 해석하면 북한의 안보문제로 볼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보면 북한이 평화협정 체결 회담을 상설화해 기존 6자회담을 유명무실화하려는 의도로 해석될 수도 있다는 점을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중국 측은 북측이 이전보다 진전된 입장을 보여야 한다며 그간 고수해온 전제조건에 대한 '완화'를 요구하는 등 적극적인 조율 작업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소식통은 그러나 "북측이 전제조건에 관한 입장을 바꾸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일각에서는 북.중 회담에서 6자회담 재개 전제조건 외에 화폐개혁 이후 어려운 북한의 경제사정과 그에 대한 지원방안도 논의되고 있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를 매개로 한 6자회담 재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보인다.

베이징 외교가에선 일단 김 부상의 방중을 계기로 6자회담 재개 시기 등이 정해지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대세지만 의장국인 중국이 적극적인 거간꾼 역할을 함으로써 적어도 회담 재개의 첫 단추를 끼운 것으로 보고 있다.

회담 기간과 관련한 북.중 양국의 논의가 순조롭게 이어질 경우 김 부상 일행이 11일 고려항공편으로 귀국하겠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북측의 본국 훈령 대기 등의 이유로 회담이 길어져 13일 돌아갈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은 북한 측 6자회담 대표단과 협의를 마친 뒤 입장을 정리해 한국.미국.일본.러시아 등 회담 참가국들과 조율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중국은 이날 지금까지 6자회담 수석대표직을 유지해온 우다웨이(武大偉) 전 외교부 부부장을 중국 정부의 한반도 사무 특별대표로 임명했다고 발표, 우 전 부부장이 6자회담 의장직을 계속 수행하게 될 것임을 밝힌 바 있다./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