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외국인의 국내 역직구 규모가 내국인의 해외 직구 규모의 1/5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의 회원가입과 결제를 어렵게 하는 국내 플랫폼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한국은행이 28일 발간한 'BOK 이슈노트: 외국인의 국내 상품 인터넷 직접 구매 활성화 방안'에 따르면 국내 소비자가 이커머스 플랫폼에서 외국 상품을 직접 구매하는 직구액은 지난해 기준 연 8조1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해외 소비자가 국내 상품을 온라인에서 직접 구매하는 역직구액은 내국인의 직구액의 약 1/5 수준인 1조6000억원에 그쳤다.
한은은 역직구 부진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국내 플랫폼의 폐쇄성을 꼽았다.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은 이메일이나 전화번호 인증만으로 회원가입이 가능하지만, 국내 플랫폼은 대부분 본인 명의의 국내 개통 휴대전화 인증을 요구하고 있다. 법적 의무는 아니지만 관행처럼 굳어져 외국인의 회원가입 진입 장벽으로 작용한다는 지적이다.
결제 수단도 마찬가지다. 해외에서는 비자(Visa)·마스터카드(Mastercard)·페이팔(PayPal)·알리페이(Alipay) 등 글로벌 결제수단이 통용되지만, 국내 플랫폼은 대부분 국내 발급 카드나 국내 간편결제 수단만 허용하고 있다.
추승우 한은 전자금융팀 차장은 "그간 주 고객이 내국인이었던 데다 해외 판매 건의 경우 지급수단 부정사용 또는 배송과 관련된 분쟁 발생 시 대응이 어려웠다"며 "업체들로서도 해외 고객 유치를 위해 회원가입 및 대금지급 관행을 적극적으로 개선할 유인이 크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이어 "외국인의 국내 이커머스 이용을 늘리기 위해선 회원가입 문턱부터 낮출 필요가 있다"며 "해외 발급 글로벌 카드나 해외 간편지급 서비스를 대금지급 수단으로 적극 수용하고, 해외 소비자를 타깃으로 한 국내외 간편지급 서비스간 연계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역직구 대금지급의 편의성을 크게 높이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이와 함께 교환·반품 등 고객 응대까지 포함하는 통합 물류 대행 서비스 확대와 저렴한 비용의 해외 배송 인프라 구축도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외국인 소비자의 이용 편의성과 국내 플랫폼의 글로벌 경쟁력을 끌어올릴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정부 지원도 필요하다는 제언이다. 한은은 업계와의 소통을 통해 국내 휴대폰 없이도 회원가입이 법적으로 가능하다는 점을 적극 알리고, 해외 결제수단의 부정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보안기술도 병행해 신뢰를 높일 수 있다고 봤다.
추 차장은 "국내 이커머스 플랫폼을 글로벌 기준에 맞게 혁신하는 것은 일회성 수출이 아닌 안정적인 해외 소비자 기반을 구축해 지속 가능한 성장 구조로 나아가는 데 중요한 인프라가 된다"며 "이를 위해 혁신의 주체인 민간을 적극적으로 독려하고, 정부도 보다 능동적인 지원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부연했다.
한국은행이 28일 발간한 'BOK 이슈노트: 외국인의 국내 상품 인터넷 직접 구매 활성화 방안'에 따르면 국내 소비자가 이커머스 플랫폼에서 외국 상품을 직접 구매하는 직구액은 지난해 기준 연 8조1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해외 소비자가 국내 상품을 온라인에서 직접 구매하는 역직구액은 내국인의 직구액의 약 1/5 수준인 1조6000억원에 그쳤다.
한은은 역직구 부진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국내 플랫폼의 폐쇄성을 꼽았다.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은 이메일이나 전화번호 인증만으로 회원가입이 가능하지만, 국내 플랫폼은 대부분 본인 명의의 국내 개통 휴대전화 인증을 요구하고 있다. 법적 의무는 아니지만 관행처럼 굳어져 외국인의 회원가입 진입 장벽으로 작용한다는 지적이다.
결제 수단도 마찬가지다. 해외에서는 비자(Visa)·마스터카드(Mastercard)·페이팔(PayPal)·알리페이(Alipay) 등 글로벌 결제수단이 통용되지만, 국내 플랫폼은 대부분 국내 발급 카드나 국내 간편결제 수단만 허용하고 있다.
이어 "외국인의 국내 이커머스 이용을 늘리기 위해선 회원가입 문턱부터 낮출 필요가 있다"며 "해외 발급 글로벌 카드나 해외 간편지급 서비스를 대금지급 수단으로 적극 수용하고, 해외 소비자를 타깃으로 한 국내외 간편지급 서비스간 연계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역직구 대금지급의 편의성을 크게 높이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이와 함께 교환·반품 등 고객 응대까지 포함하는 통합 물류 대행 서비스 확대와 저렴한 비용의 해외 배송 인프라 구축도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외국인 소비자의 이용 편의성과 국내 플랫폼의 글로벌 경쟁력을 끌어올릴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정부 지원도 필요하다는 제언이다. 한은은 업계와의 소통을 통해 국내 휴대폰 없이도 회원가입이 법적으로 가능하다는 점을 적극 알리고, 해외 결제수단의 부정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보안기술도 병행해 신뢰를 높일 수 있다고 봤다.
추 차장은 "국내 이커머스 플랫폼을 글로벌 기준에 맞게 혁신하는 것은 일회성 수출이 아닌 안정적인 해외 소비자 기반을 구축해 지속 가능한 성장 구조로 나아가는 데 중요한 인프라가 된다"며 "이를 위해 혁신의 주체인 민간을 적극적으로 독려하고, 정부도 보다 능동적인 지원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