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란 사우스파스 가스정제 플랜트 현장. 대림산업이 일괄도급 설계 방식으로 수주했으며 기본설계 검토에서부터 상세설계, 기자재 조달, 시공, 그리고 시운전까지 수행했다. |
지난 2008년 사우디아라비아 카얀(Kayan)사는 대림산업에 긴급 SOS를 타진해왔다.
중국 건설회사에 맡겨 진행하고 있는 연산 40만톤 규모의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공장 프로젝트를 대림이 대신 맡아 달라는 요청이었다.
중국업체의 기술력이나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볼 때 도저히 불가능하니 대림이 해달라는 것. 플랜트건설공사는 국가별 기업별 공사 수행의 프로세스가 다르다. 게다가 당시 중국측의 시공력도 검증되지 않은 상황이었다. 대림의 중간 대체투입은 모험과도 같았다. 당시 100% 성공을 장담할 수 없다며 플랜트 엔지니어링 실무진은 반발했다.
대림은 고민을 거듭했다. 그러나 선택했다. 자사를 신뢰하는 고객만족을 위해 최선을 다하기로 했다. 이 프로젝트는 성공적으로 수행중이다.
'기술 제일주의'의 대림산업에 대한 해외 발주기관의 신뢰와 고객감동의 대림정신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다.
이처럼 대림산업은 오랫동안 해외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쌓아온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프로젝트 관리능력이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건설사업부가 플랜트 공사 시공을 책임지고 유화사업부가 시운전을 맡아 운영을 책임지는 구조는 대림산업의 장점으로 꼽히고 있다.
대림산업은 중동 최대의 플랜트 시장인 사우디에서 현재 22억 달러 규모의 5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사우디는 엄격하고 까다로운 공정관리와 공사 자격요건을 요구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때문에 사우디 시장에서의 플랜트 프로젝트 수행은 곧바로 '세계적 수준의 기술력'을 인정받게 되는 셈. 그래서 내노라 하는 세계적 건설사들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사우디 플랜트 시장에서 보여주고 있는 대림산업의 저력이 대단한 것이다.
그 결과 사우디 알주베일 공단에서 대림산업이 수행한 폴리프로필렌 제조공장 및 주변시설 공사는 뛰어난 사업관리능력과 공기절감을 인정받아 사우디 국영회사인 사빅(SABIC)으로부터 2008년 최고의 프로젝트로 선정되기도 했다.
해외 플랜트에서 대림산업이 이처럼 경쟁력을 보이고 있는 것은 일순간에 이뤄진 일이 아니다. 40년이 넘는 해외진출 역사를 통해 축전된 기술력과 노하우, 경험이 밑받침되고 있기 때문이다.
반세기에 가까운 해외진출 역사 만큼이나 '1호' 기록도 많다.
대림산업은 1966년 1월 28일 미 해군 시설처에서 발주한 베트남 라치기아 항만 항타 공사를 87만 7000달러에 수주, 공사 착수금 4만5000달러가 같은 해 2월초 한국은행에 입금되면서 '해외 건설 외화 획득 1호'라는 기록을 가지고 있다.
1973년 11월에는 사우디 아람코사가 발주한 정유공장 보일러 설치공사(16만 달러)를 수주하면서 국내 최초 중동 진출이라는 역사를 만들기도 했다.
이어 1975년 9월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유공장 건설 공사를 수주해 역시 '아프리카 진출 1호'라는 기록도 가지고 있다.
지난해 대림산업은 사우디 주베일 정유공장과 이란 사우스파스 가스정제 플랜트 등 해외에서 총 3조8000억원의 일감을 가져왔다. 현재 이란, 사우디, 중국 등에서 12개의 대형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으며 올해 해외에서 4조5000억원 정도의 일감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아주경제= 김영배 기자 young@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