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절약형 제품을 구매하거나 저탄소 실천 매장을 이용할 경우 판매액의 일정비율을 포인트로 적립, 제품 구매나 대중교통에서 이용할 수 있는 '탄소 캐쉬백' 제도가 도입된다.
지식경제부는 23~26일 4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제5차 기후변화협약대책 Week행사'를 개최하며 이 같은 방안을 밝혔다.
기후변화협약대책 주간 행사는 지난 2005년 쿄토의정서 발효를 계기로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와 대응역량 제고를 위해 2006년부터 지경부가 주최하고 에너지관리공단이 주관해 오고 있다.
탄소캐쉬백카드는 OK캐쉬백을 발급하는 SK에서 발급받아 전국 4만5000여 가맹점에서 이용할 수 있고, 올해 하반기에는 대중교통에도 사용가능하다.
정부는 한 공중파 방송사와 함께 이날 탄소캐쉬백 제도 홍보 이벤트도 개최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는 '코펜하겐 이후의 온실가스 국제협상 전망'이라는 주제의 강연과 '자발적 탄소시장 활성화'라는 주제의 전문가 세미나가 열렸다.
주한 영국대사관 토니 크렘슨 기후변화팀장은 "전세계 기온이 4도 정도 올라가면 가뭄, 폭염, 홍수, 해수면 상승, 깨끗한 물 접근 제한 등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일자리와 산업에 미치는 악영향 심각해질 것"이라며 "특히 무역에서는 안정성이 매우 중요한데, 기후 온난화로 불안정성기 가중돼 분쟁과 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그렘슨 팀장은 "특정 자연재해를 전적으로 기후변화 때문이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지만, 카트리나 등의 태풍이 더욱 빈번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며 "기후변화 영향은 더이상 미래의 상황이 아닌 실질적이고 오늘날 영향을 끼치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산업기술대 강승진 교수는 "전세계적으로 평균 온도를 2도 줄이기 위해서는 2020년까지 온실가스를 20~40%를 줄어야 하지만, 선진국들이 이미 발표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 수치는 11~18% 수준에 그친다"며 "선진국의 중기목표가 상향조정될 가능성이 유보적이고 개도국도 각종 전제 조건을 내걸면서 감축목표를 밝히고 있는 소극적인 상황"이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우리나라의 녹색성장과 관련해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시기와 녹색성장을 하는 사이의 시차가 분명히 발생할 것"이라며 "이 시차를 어떻게 극복하느냐 하는 사회적 비용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주경제 김종원 기자 jjong@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