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위기때 선진국들 공공고용서비스 인력 충원"..고용정보원 개원 4주년 심포지엄
(아주경제 김선환 기자) 현재 약 3000명 수준에 불과한 우리나라의 공공 고용서비스 직원 수를 1만명 정도로 확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5일 한국고용정보원(KEIS)은 개원 4주년을 맞아 '고용서비스 성과와 개선방안' 심포지엄읅 개최했다.
이상현 KEIS 연구위원은 심포지엄에 앞서 배포한 주제발표문에서 "각국의 경제활동인구, 경제규모에 따른 공공 고용서비스 직원 수를 고려할 때 우리나라는 1만명(현재 약 3000명) 정도는 돼야 적정 수준의 공공 고용서비스 기능을 충당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위원은 "고용서비스 선진국은 경기침체에 따른 고용위기에 대응하려고 공공고용 서비스 인프라를 대폭 강화하는 추세"라며 영국, 독일, 호주 등의 사례를 근거로 들었다.
영국은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에 6만6000명이던 공공 고용서비스 직원을 지난해 7만8000명으로 늘렸고, 일본은 7000명, 독일 5000명, 프랑스 1800명, 네덜란드는 800명을 늘려 경기침체로 인한 고용위기에 대처했다고 이 연구위원은 소개했다.
이 밖에도 김진희 KEIS 연구위원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고용지원센터의 보다 적극적인 안내와 상담을 주문했다.
김 위원은 "지난해 9월에 전국 30인 이상 300인 미만의 중소업체 875곳을 조사한 결과 약 40%는 최근 2년간 고용지원센터의 채용알선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으며, 이 서비스를 경험한 기업의 93.4%는 고용지원센터의 채용알선 서비스를 다시 이용할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그는 "고용지원센터의 적극적인 안내와 상담이 업체들의 이용을 활성화하는 가장 큰 요인"이라고 말했다.
shkim@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